사회 사회일반

차기 경찰청장 인선 '깜깜이'...‘드루킹 부실수사' 변수 되나

이철성 청장 이달 임기만료 불구

지방선거 등으로 인선 미뤄져

이철성 경찰청장의 임기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차기 청장 후보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후임 경찰청장은 검경 수사권 조정에 따른 경찰 개혁을 본격적으로 진두지휘해야 하는 임무를 맡아야 한다. 일각에서는 ‘드루킹 사건’이 후임 청장 결정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31일 경찰청 등에 따르면 이 청장의 임기는 오는 8월까지이지만 정년이 6월까지라 조기에 임기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경찰의 한 고위 관계자는 “예정대로라면 5월 말이면 후보군에 대한 윤곽이 잡히고 후임자에 대한 인선 절차가 마무리됐어야 할 시기지만 주요 현안들을 앞두고 있는 만큼 후임자 내정은 지방선거가 끝난 이후에나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찰청장은 경찰위원회의 임명 동의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통상 내정자 발표 후 국회 인사청문회 등을 거쳐 취임까지 한 달 정도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차기 청장은 7월 중순께나 취임할 것으로 보인다. 이 청장이 퇴임한 뒤 보름 정도는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관련기사



유력한 차기 경찰청장 후보군으로는 이주민 서울지방경찰청장과 민갑룡 경찰청 차장이 거론되고 있다. 이 서울청장은 정보·외사 등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고 특히 지난 2003년 노무현 정부 청와대 국정상황실에 근무해 현 정권과 인연이 깊다. 지난해 서울청장으로 자리를 옮길 때부터 ‘차기 청장 0순위’로 꼽혀왔다. 하지만 이 청장은 ‘드루킹 사건’ 부실수사 의혹에 휘말리며 야당으로부터 사퇴 압박까지 받고 있는 게 변수다. 청와대가 무리하게 임명을 강행하더라도 야당의 반발로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관측이다.

민 차장은 노무현 정부 시절부터 수사구조개혁단의 전신인 경찰혁신기획단에서 일해오며 수사권 조정에 대한 현 정권의 의지를 가장 깊게 이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기획조정담당관·치안정책연구소장 등 주로 정책 부서에만 근무해 지휘관 경험이 부족하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조직 내부에서는 누가 청장이 되던 경찰 고위직에 대한 대대적인 물갈이가 불가피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최성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