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경총 "분열 조장, 신뢰 실추" 송영중 부회장 해임…회원사 96% 찬성

회원사들, 경제단체 정체성·신뢰 실추

후임 부회장 전형위원회 구성·논의 돌입

정관 개정해 경제·사회 정책 역할 확대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3일 오전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경영자총협회 임시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이호재기자.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3일 오전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경영자총협회 임시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이호재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임시총회를 열고 최근 국회와 노동계, 경총 내부에서 논란을 일으킨 송영중 상임부회장을 해임했다.

3일 경총은 서울 중구 웨스턴조선호텔에서 임시총회를 열고 정관 변경 안건과 송 부회장에 대한 해임 안건을 처리했다. 손경식 회장은 임시총회에서 “최근 사무국 내 문제로 회원사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혼란을 조속히 봉합하는 동시에 재도약의 전기를 맞이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총 총회의 안건은 전체 회원사 가운데 절반 이상이 참석해 과반이 찬성하면 통과된다. 이날 회의는 전체 407개 회원사 가운데 233개(위임 170곳, 참석 63곳)가 참여했다. 이 중 224곳(96%)이 해임안에 찬성해 송 부회장은 취임 3개월 만에 공식적으로 경총을 떠나게 됐다. 해임 사유는 △직원간 분열 조장과 사무국 파행 운영 △경제단체 정체성에 반한 행위와 회장 업무지시 불이행 △경총 신뢰 및 이미지 실추 등이다.

관련기사



지난 4월 취임한 송영중 부회장은 5월 국회에서 논의 중이던 최저임금 산입범위를 노사정이 참여하는 최저임금위원회에서 다뤄야 한다는 노동계의 입장에 동조해 파문이 일었다. 경총은 회원사인 기업을 대변하는 이익단체다. 국회의 반발에 하루 만에 다시 국회에서 처리하기로 입장을 번복했지만 노동계가 시위를 이어가는 등 잡음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후 송 부회장은 재택근무를 하다 지난달 11일 정상출근했다. 하지만 손 회장이 직무정지 결론을 내렸다. 이후 회장단 회의를 거쳐 자진사퇴를 권고했고 송 부회장은 이를 거부했다.

송 부회장을 둘러싼 논란은 해임 안이 처리되기 전까지도 지속됐다. 지난 30일 경총이 단체협약 용역사업 수익 등 8년간 35억원을 특별회계로 처리해 90여명의 임직원들에게 상여금으로 준 내부 폭로가 터졌다. 당초 내부에서 이 문제를 지적한 송 부회장은 “경총이 투명하지 않다”며 회원사들에게 호소하기도 했다. 본인의 페이스북에는 손 회장에게 직접 항의하는 질의서를 쓰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총회에 참석한 손 회장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손 회장은 “다른 경제단체보다 연봉이 적었고 현금이 왔다 갔다 한 것은 전혀 없다”며 “모두 회계처리가 되었고 직원들 월급으로 나갔고 어떤 조사가 와도 떳떳하게 내역을 밝힐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경총은 송 부회장의 해임에 따라 전형위원회 구성과 절차에 대한 논의에 들어갔다. 조속히 사태를 마무리하고 경제단체로서 위상을 바로 세우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한편 이날 경총은 정관 개정안을 통해 사업 목적을 ‘자유시장 경제에 기반한 경제사회정책 구현’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 등으로 확대·개정했다. 경총이 기존의 노사관계를 아우르는 사용자단체 영역에서 나아가 기업 경쟁력 강화 등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경제단체로 도약하기 위한 취지다. 손 회장은 “우리 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도모하고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기존 노사관계 업무에서 경제·사회 이슈를 포괄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새로운 경총의 역할을 정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