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서울 광역버스 운행 중단 위기…6개 업체 폐선 신고

인천에서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 업체들이 경영난을 호소하며 9일 인천시청에 일괄 폐선 신고를 냈다.

인천시에 따르면 마니교통·선진여객·신강여객 등 6개 업체는 오는 21일 첫차부터 광역버스 20개 노선버스 254대의 운행을 중단하겠다는 폐선 신고서를 이날 시청 민원실에 제출했다.


해당 노선은 국토교통부가 담당하는 광역급행버스(M버스)는 포함되지 않으며, 인천에 본사를 둔 광역버스업체 노선이다.

1000·1100·1200·1300·9100번 등 대부분 인천과 신촌·서울역·강남을 잇는 노선들이다.


이들 업체는 호소문에서 “올해 급격한 최저 시급 인상과 운수종사자 휴게시간 보장법 신설로 운송 수지 적자는 계속되고 있다”며 “준공영제 지원을 받는 시내버스 업체와 격차는 더욱 심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이어 “적자 운행, 근로자의 열악한 처우에 따른 광역버스 근로자 부족으로 해당 사업을 더 지속할 수 없을 정도의 상황에 이르렀다”며 “인천시에 광역버스 기사실태를 여러 차례 보고하고 재정지원을 요청했지만 반영되지 않았다”며 폐선 신고 배경을 밝혔다.

인천시 조사결과를 보면 인천 광역버스 1대당 1일 운송원가는 56만9,480원이지만 운송수입은 53만6,130원으로, 작년 6개 업체의 적자가 총 22억원에 달했다.

최저시급은 작년 6,470원에서 올해 7,530원으로 16.4% 올라 6개 업체의 인건비가 120억6,400만원에서 140억4,100만원으로 19억7,700만원(16.4%) 늘어났다.

광역버스 업계 관계자는 “광역버스 기사는 인천에서 서울로 오가는 버스를 운전하며 화장실 갈 시간도 없는데 월수입이 250만원 수준”이라며 “시내버스 기사가 350만원 정도 받는데 이런 격차 아래에서는 현재 수준의 노선을 도저히 유지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9월에 추가경정예산 편성 때 광역버스 지원금 23억원을 확보하려고 했는데 예산부서에서 반대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업계와 긴밀하게 논의해 운행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