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도소매·숙박음식 등 자영업 대출 역대 최대 폭 증가

제조업 대출 ‘찔끔’ 늘고…건설업 대출은 감소

부동산업 대출 증가세는 작년 3분기 정점 찍고 둔화

예금취급기관 산업별 대출 추이/연합뉴스[한국은행 제공]예금취급기관 산업별 대출 추이/연합뉴스[한국은행 제공]



2분기 산업대출 증가 폭이 1년 반 만에 최소를 기록했다. 제조업 대출 증가세가 둔화하고 건설업 대출이 감소한 여파다. 그러나 대표적인 자영업종이자, 부가가치가 높지 않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대출은 역대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18년 2분기 중 예금 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을 보면 예금 취급기관 산업별 대출은 6월 말 기준 1,082조7,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2조9,000억원 늘었다. 산업대출은 개인사업자(자영업자)를 포함한 기업, 공공기관, 정부 등이 은행, 상호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예금을 취급하는 금융회사에서 빌린 돈을 뜻한다. 2분기 산업대출 증가 폭은 2016년 4분기(-9,000억원) 이후 가장 작다. 제조업 대출(342조2,000억원)이 5,000억원 늘어나며 1분기(+4조2,000억원)에 비해 증가폭이 확 줄었다. 특히 기타 운송장비(-1조3,000억원)와 자동차·트레일러(-8,000억원)는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건설업 대출(40조3,000억원) 역시 1분기 1조3,000억원 증가에서 2분기 4,000억원 감소로 돌아섰다. 한은 관계자는 “제조업, 건설업은 반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대출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서비스업 대출(641조7,000억원)은 전 분기와 비슷한 규모인 11조5,000억원 늘었다. 이 가운데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대출은 190조8,000억원으로 석 달 사이 6조원 늘었다. 이는 한은이 관련 통계를 편제한 2008년 이후 최대폭이다. 2분기 산업대출 증가분 절반가량이 도·소매·숙박·음식점업에 몰린 것이다. 한은은 도·소매·숙박·음식점 창업이 늘어나며 대출이 확대된 것으로 풀이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분기별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신설법인은 5,000개 초중반 수준이었지만 올해는 1분기 6,283개에 이어 2분기에 6,524개로 늘었다.

관련기사



산업대출이 고부가가치 업종 대신 부가가치가 낮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으로 쏠리는 현상은 우려를 낳는다.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은 대표적인 자영업종이다. 한은에 따르면 2014년 전체 자영업자 가운데 도·소매업이 28%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숙박·음식점업(22%)이었다. 경기가 좋지 않으면 실직자들이 생계를 위해 도소매업체, 숙박업체나 식당을 창업해 자영업자가 늘어나는 모습이 나타나곤 했다.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면 관련 업종 폐업률도 오른다. 2015년 창업 후 3년 생존율은 숙박·음식점이 30.2%, 도·소매 35.5%로 평균(39.1%)을 밑돌았다.

부동산업 대출은 이번 분기에도 7조원 늘었지만 작년 3분기(+9조7천억원)에 정점을 찍은 이후 증가세가 다소 꺾인 모습니다. 전체 산업대출을 용도별로 분류해보면 설비투자와 관련 깊은 시설자금 대출(457조7,000억원)이 8조5,000억원 증가했다. 시설자금 비중은 42.3%로 전 분기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인건비, 재료비 등 기업을 운영하는 데 쓰는 운전자금 대출(625조원)은 4조3,000억원 늘었다. 기관별로는 예금은행 대출(865조3,000억원)이 8조3,000억원, 수출입은행·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 비은행 예금 취급기관 대출(217조5,000억원)이 4조6,000억원 각각 늘었다. /홍승희인턴기자 shhs9501@sedaily.com

홍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