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바른미래 "文정부, 하루 한명 꼴 公기관 낙하산"

공공기관 현황 전수조사 ‘친문백서’ 발표

김관영 “소신 있게 일할 전문가 보내는 게 공공기관 혁신”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김관영(사진)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4일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년 4개월 동안 340개 공공기관에서 1,651명의 임원이 새롭게 임명됐는데 이 가운데 365명이 ‘캠코더’(대선캠프·코드인사·더불어민주당 출신) 인사”라고 비판했다. 바른미래당은 이날 공공기관의 낙하산 인사 현황을 전수조사한 ‘친문(親文) 백서’를 발표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1,651명 중 365명이 이른바 캠코더 인사라는 것은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매일 한 명씩 낙하산 인사가 임명된 꼴”이라고 지적했다. 백서에 따르면 365명 중 94명은 기관장으로 임명된 것으로 조사됐다. 김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는 박근혜 정부와 마찬가지로 능력과 무관하게 정치권 인사를 주요 기관장 임원으로 내세워 신 적폐를 쌓고 있다”고 말했다. 기관장 상당수는 20대 총선에서 불출마를 선언했거나 낙선한 전직 의원들이라는 게 바른미래당의 주장이다. 김 원내대표는 “공공기관이 전직 국회의원의 재취업 창구로 전락했다”고 날을 세웠다.

관련기사



백서는 금융기관 임원 임명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자산관리공사 등 금융기관에서 새로 임명된 임원 35명 가운데 21명이 캠코더 인사라는 것이다. 김 원내대표는 “공공기관의 혁신은 캠코더 인사로는 어렵다”며 “가장 일 잘할 수 있는 전문가를 자리에 보내 소신 있게 일하도록 하는 게 공공기관 혁신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