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미중 수출 中企 10곳 중 3곳 "미중 무역분쟁 부정적 영향"

중기중앙회 미중 수출 중기300개사 대상 조사

중국하고만 거래하는 업체일수록 부정적 경향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조사에서 전체 300개 기업 가운데 부정적 영향을 예견한 기업은 30.0%를 차지했다. 관련없음은 60.3%, 긍정적 영향을 예견한 기업은 9.7%였다. 표는 ‘미중 무역분쟁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응답 결과./자료제공=중기중앙회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조사에서 전체 300개 기업 가운데 부정적 영향을 예견한 기업은 30.0%를 차지했다. 관련없음은 60.3%, 긍정적 영향을 예견한 기업은 9.7%였다. 표는 ‘미중 무역분쟁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응답 결과./자료제공=중기중앙회



최근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하면서 이들 국가의 기업과 거래하는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이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미국 및 중국과 거래하는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조사’를 실시한 결과,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30.0%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긍정적 영향을 예상한 의견 9.7%에 비해 눈에 띄게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한 응답 기업 가운데 중국하고만 거래하는 업체는 37.3%를 차지해 미국과 중국에 모두 거래선이 있는 업체(28.6%)와 미국하고만 거래하는 업체(23.3%)보다 부정적인 입장이 많았다. 아울러 미중 무역분쟁이 경영에 부정적일 것이라 예측한 이들 업체 가운데 중국 거래 기업은 전년 동기 대비 평균 16.4%의 수출액 감소를 전망했다. 반면 미국 거래 기업은 평균 8.9%의 수출액 감소를 예상했다.



거래 품목별로는 기계류(36.8%), 잡제품(35.5%), 전자전기제품(33.3%), 철강금속제품(33.3%) 순으로 부정적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측에서 미중 무역분쟁을 이유로 진행 중인 설비 증설을 보류하는 등 기존에 우리 측에 들어왔던 계약 건이 취소되는 사례도 다수 보고 되었다.

조사 대상 기업들 가운데 41.7%는 향후 1년간 미중 무역분쟁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으며 향후 2년 이상(20.3%), 향후 6개월(21.3%) 등으로 대답한 기업도 있었다.

한편 이들 기업 대다수(93.0%)는 무역분쟁 피해에 대한 대응 방안이 없다고 답했으며, 정부 대책 관련해서는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해외시장 정보를 강화했으면 좋겠다’는 의견(25.0%)이 가장 많았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