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주택 가진 미성년자 2만4천명…5주택자 이상 31명

심기준 더불어민주당 의원

통계청 자료 분석

다주택자 1,000여명

주택을 가진 미성년자가 2만 4,000여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000여 명은 다주택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심기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통계청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으로 주택을 소유한 미성년자는 총 2만 3,991명이었다. 이 가운데 4.9%인 1,181명은 다주택자였다. 2주택은 948명, 3주택은 95명, 4주택은 30명이었으며 5주택 이상도 108명 있었다.


주택을 소유한 미성년자의 거주지별로 보면 경기가 5,038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3,727명), 경남(1,951명), 경북(1,799명), 전남(1,631명), 부산(1,344명), 충남(1,232명), 전북(1,132명) 순이었다.

관련기사



서울 거주 주택 소유 미성년자의 30.1%인 1천122명은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에 살고 있었다. 또 강남 3구에 거주하는 주택 소유 미성년자 중 1주택은 1천17명, 2주택은 65명, 3주택은 6명, 4주택은 1명, 5주택 이상이 31명이었다.

심 의원은 “2016년 기준 전체 가구의 44.5%에 해당하는 862만4천가구가 무주택 가구인데, 부동산 상속과 증여가 주요한 부의 축적 경로가 되고 부동산 보유에 의한 소득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며 “흙수저 울리는 부동산 계급사회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