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부사관 되기 더 어려워진다

육군, 하사 덜 뽑고 중사·상사 수 늘리기로

‘대량획득·대량손실’→‘소수획득·장기활용’

예비역 평시 복무 제도 도입 추진

부사관 되기가 더 어려워진다. 모집 인원이 가장 많은 육군이 하사를 덜 뽑는 대신 중사와 상사 정원을 늘리기로 했기 때문이다.

육군은 18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하사를 비롯한 초급간부 선발비율을 30%가량 축소하고, 대신 중·상사 정원을 확대해 숙련된 전투력 발휘 여건을 보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대량획득-단기 대량 탈락’이란 비효율적 피라미드형의 인력수급 방식을 ‘소수획득-장기활용’이라는 항아리형 인력구조로의 바꾸기 위한 것이다. 육군의 이 같은 시도는 인구절벽 시대 도래에 따른 가용 병력자원 급감과 병 복무 기간 단축, 병사 봉급 인상 및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초급 간부 획득 여건의 상대적 악화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부사관 지원율은 육군 3.6 대 1, 해군 6 대 1, 공군 10 대 1 등이다. 유사직종인 경찰 순경은 32 대 1, 9급 공무원은 42대 1이다. 이에 육군은 작년 하사 인원을 6,500명 목표에서 5,200명(80%)만 뽑았다.

관련기사



육군은 “장기복무 선발률 확대를 통해 우수한 소수 인원을 확보해 장기적으로 활용하는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육군은 이와 함께 ‘예비역의 평시 복무제도’ 도입을 추진키로 했다. 예비역 군인 신분으로 평시부터 군에 복무할 수 있도록 법률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육군은 병력 규모와 복무 기간 감축을 효과적으로 보완하며 국방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이 제도를 도입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동원 사단에서 시행하는 예비역 비상근(Part-time) 복무제도를 앞으로 동원 의존율이 높은 모든 유형의 부대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비상근 복무제도는 예비역 간부를 주로 현장 지휘자와 공용화기 팀장 등으로 연간 15일(월 1~2회) 근무토록 하는 것이다.

육군은 “예비역 복무제도 추진을 위해 운영 직위 선정과 세부 시행방안을 내년까지 정립할 예정”이라며 “2020년에 최초 시험운영 평가를 통해 제도의 미비점을 보완한 후 2024년부터 전면 시행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