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최저임금 도입한다더니…이탈리아 신용등급 강등

"경제 여건은 양호" 등급전망은 '안정적'

2915A15 이탈리아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 추이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가 재정지출 확대로 유럽연합(EU)과 충돌하는 이탈리아의 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했다. 국내외 충격에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으나 아직 경제 여건은 양호하다며 등급전망은 ‘안정적’이다.

로이터 통신은 무디스가 19일(현지시간) 이탈리아의 신용등급을 종전 Baa2에서 Baa3로 한 단계 낮춘 것으로 전했다. Baa3는 마지막 투자등급으로 투자가 부적격한 투기등급 가운데 가장 높은 Ba1보다 한 단계 위에 있다.

무디스는 등급 강등의 주요 원인으로 이탈리아 정부가 최근 발표한 예산을 꼽았다. 반체제 정당인 ‘오성운동’과 극우성향의 ‘동맹’이 결성한 이탈리아 연립정권은 재정적자 규모를 전임 정부의 계획보다 3배 늘린 국내총생산(GDP)의 2.4%로 설정한 내년 예산안을 최근 EU에 제출했다. 무디스는 이 같은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이탈리아의 부채가 줄지 않고 향후 몇 년간 현재 130%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 때문에 이탈리아가 국내나 외부에서 기인하는 충격, 특히 경제성장 약화에 취약해진다”고 악영향을 분석했다.


유로존 (유로화 사용 19개국)의 경제 3위국인 이탈리아는 새 정부의 확장적 예산안 때문에 최근 몇 주간 국채 가격이 떨어졌다. 독일과 이탈리아의 10년 만기 상환 국채의 수익률 격차는 이날 5년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최근 발표된 예산안에는 저소득자들을 위한 최저임금 도입, 감세, 2011년 도입된 연금개혁 완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무디스는 “정부 지출의 대부분이 그 속성상 구조적이라서 되돌리기에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무디스는 등급전망을 안정적으로 매긴 이유에 대해 “아직 이탈리아에는 약화하는 재정적 전망의 균형을 잡을 중요한 신용 역량이 있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크고 다변화한 경제, GDP의 2% 이상인 경상수지 흑자, 거의 균형 잡힌 해외투자, 가계가 보유한 부의 높은 수준을 들었다.

앞서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는 올해 8월말 이탈리아의 신용등급 BBB에 대한 전망을 부정적으로 설정했다. 다른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오는 26일 이탈리아의 신용등급을 재검토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S&P는 작년 10월 이탈리아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상향하고 전망을 안정적으로 매긴 바 있다.


박동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