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병무청장 "예술·체육 특기자 병역특례 전면 재검토"

"의견수렴·형평성 따져 최선의 방안 마련…폐지까지 검토"

23일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의 병무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기찬수 병무청장이 병역문제로 출석한 증인들(왼쪽)과 관련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연합뉴스23일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의 병무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기찬수 병무청장이 병역문제로 출석한 증인들(왼쪽)과 관련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연합뉴스



여야 국방위원들은 23일 병무청에 대한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예술·체육 특기자에 대한 병역특례 제도를 폐지하거나 대폭 개선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기찬수 병무청장도 폐지를 포함해 기존 특례제도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호응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병역을 면제받은 예술 특기자 중 강남 3구 출신은 38명으로 유달리 많고, 특히 이들 가운데 34명은 국내에서 열리는 무용대회에서 상을 받았다”며 “이들이 현재 무엇을 하는지 확인해보라”고 주문했다. 이주영 자유한국당 의원은 “병역특례는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우리가 북한에 패한 후 엘리트 체육을 육성하고자 만든 제도이기 때문에 지금은 그 필요성이 무의미하다”라고 주장했다. 같은 당 황영철 의원도 “효과 대비 논란이 지나치다. 국방위 차원에서 병역특례 제도를 폐지하자는 의견을 과감히 표명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중로 바른미래당 의원은 “각 분야에서 세계 최고인 극소수 인원으로 대상자를 제한하든지 아예 없애야 한다”며 “국민이 동의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같은 당 하태경 의원은 예술요원으로 병역을 면제받은 허모 국립현대무용단 단원과 전모 국립발레단 단원을 일반 증인으로 불러 이들의 국외 콩쿠르 수상 과정에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는 “이들은 현대무용과 발레 대회가 끝난 후 일주일 또는 8개월 뒤에 상을 받았다”며 “심사위원 서명, 상금 액수 등에도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어 병무청의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관련기사



여야 의원의 질의를 지켜본 안규백 국방위원장은 “농사를 짓거나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인원도 군대 갈 나이가 되면 국가에 헌신한다. 예술·체육 특기자만을 대상으로 한 병역특례 제도는 전근대적이고 천민적인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기찬수 병무청장은 “시대적 상황에 맞게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제도의 취지, 운영 목적, 군 병역 이행 등의 형평성을 따져 최선의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폐지까지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재성 더불어민주당의원은 현역으로 입대했다가 보충역으로 전환된 연예인과 고소득자 비율이 일반인보다 훨씬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연예인의 보충역 전환율은 5.81%로 전체 입영자와 비교해 11배 이상 높고, 고소득자나 그 자녀도 1.18%로 2배 수준이었다”며 “모든 국민이 평등하게 병역 의무를 이행하도록 제도를 전면 손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