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에스티팜 에이즈 치료제, 美 국립보건원 연구지원 과제 선정

앞으로 5년간 약 15억 지원 받게 돼

에스티팜(237690)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치료제 신약 후보물질인 ‘STP03-0404’가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생명과학 분야 연구프로젝트 지원사업(R01) 과제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른바 에이즈로 불리는 HIV는 이전까지 치료제로 사용되는 역전사효소 저해제와 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가 부작용과 약물상호작용, 약제내성발현 등의 문제로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또 최근 이를 개선한 촉매활성 부위 인테그라제 저해제가 개발되었지만 또다시 약제내성 발현문제가 나타나며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요구가 높다.

STP03-0404는 촉매활성 부위가 아닌 비촉매활성 부위에 작용하는 HIV 인테그라제 저해제로 기존 치료제들의 약제내성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퍼스트인클래스(최초 신약) 후보물질이다. 새로 확인된 작용기전은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보호하는 단백질 막 밖으로 빼내, 숙주세포에서 재발현 될 수 있는 HIV의 기능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특징이다.


에스티팜은 미국에서 에모리대학교의 김 백 교수팀과 공동으로 새롭게 확인된 STP03-0404의 작용기전 확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연구팀은 미국 국립보건원으로부터 향후 5년간 약 139만달러(약15억원)를 지원 받게 된다.

관련기사



에스티팜은 지난 2014년부터 한국화학연구원의 김봉진·손종찬 박사팀과 공동연구를 진행해 HIV감염치료제 신약 후보 물질인 STP03-0404를 개발했으며, 지난 2016년 9월 한국화학연구원으로부터 기술 이전 받아 국내외 특허권과 독점개발권을 확보했다.

미국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전세계 HIV 환자는 지난 2016년 기준으로 약 3,600만 명으로 추산되며 하루 평균 약 5,000 명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하고 있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기존 HIV 감염 치료제의 내성 발현 등으로 근본적인 치료제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미국 국립보건원의 지원으로 진행될 신규 작용기전 공동연구는 HIV감염 완치를 위한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에스티팜은 오는 2019년 글로벌 임상을 목표로 현재 국내에서 STP03-0404의 전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