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한국당 조강특위, 29일부터 당협 현지 실태조사…인적쇄신 본격화

예상보다 일정 지연…내년 1월까지는 당협교체 마무리

12월 원내대표 경선도 변수로 작용

김병준(가운데)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11일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들과 함께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왼쪽부터 김성원·김석기 위원, 김용태 위원장, 김 비대위원장, 전원책·강성주·이진곤 위원/연합뉴스김병준(가운데)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11일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들과 함께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왼쪽부터 김성원·김석기 위원, 김용태 위원장, 김 비대위원장, 전원책·강성주·이진곤 위원/연합뉴스



자유한국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가 오는 29일부터 전국 당협에 대한 현지 실태조사에 들어가며 인적쇄신 작업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하지만 조강특위가 출범한 지 2주가 돼서야 본격적인 실사에 착수하는 등 예정보다 일정이 늦어지면서 당협위원장 선정작업이 예정된 일정대로 진행될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조사 대상은 전굴 253개 당협 중 사고 당협 17곳을 제외한 236곳이다. 김무성·김정훈·이군현·윤상직·정종섭·황영철 의원 등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의원들의 지역구는 심사대상에서 배제하자는 방안이 논의되기도 했지만 일단 이들의 불출마 의사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작업을 거치기로 했다. 만일 이들 의원이 ‘불출마’를 고수하는 경우 현지 실사 과정을 거치지 않고 교체지역에 포함된다. 또한 예상보다 일정이 지연된 만큼 당 사무처의 현지실사 태스크포스(TF) 인력도 40명에서 60여 명 수준으로 증원해 조사 기간을 줄여나간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실태 조사가 마무리되면 이르면 11월 말, 늦어도 12월 초에는 당협위원장을 재선정해야 하는 지역과 그대로 유지할 지역을 구분해 공모절차에 착수한 뒤 내년 1월 안에는 당협 교체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당초 이달 1일부터 조강특위를 가동해 12월 말까지 당협 교체 작업을 끝낸다고 밝힌 바 있지만, 조강특위 외부위원 선임이 늦어진데다 당무감사위에서 당협 실태조사 평가기준안에 대한 이견을 조율하는데도 시간이 걸렸다. 또한 오는 12월 치러지는 원내대표 경선도 변수로 작용한다. 계파 간 수 싸움이 치열한 원내대표 경선에 앞서 당협위원장 재공모 지역이 발표되면 그 결과가 선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내년 2월에는 설 연휴과 전당대회가 예정돼있어 조강특위가 속도를 내지 못하면 비대위의 혁신작업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