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공군 첫 공중급유기 도착…독도 90분, 이어도 80분 '작전시간' 늘어난다

공중급유기 1호기가 12일 부산김해공항에 착륙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공중급유기 1호기가 12일 부산김해공항에 착륙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공군 전투기의 작전 반경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공중급유기 1호기가 12일 대한민국에 도착했다.

공군 관계자는 “공중급유기 1호기가 오늘 오후 2시경 김해공군기지에 도착했다”며 “1개월 동안 수락검사를 받은 뒤 다음 달부터 전력화된다”고 밝혔다.


수락검사는 각 군이 도입한 장비가 품질 요구조건을 충족하는지 검사하는 절차다. 시스템 구성·정비·항공·군수 분야를 비롯해 공중급유의 정상 시행 여부도 검사 대상이다. 공군은 수락검사 기간 공중급유기를 띄워 F-15K와 KF-16 전투기에 실제 공중급유를 시도할 계획이다.

이번에 도입한 공중급유기는 유럽계 업체인 에어버스D&S사의 ‘A330 MRTT’로 내년에 3대가 추가 도입된다. 공중급유기 4대 도입에는 예산 약 1조5천억 원이 든다.


A330 MRTT의 기체 크기는 전장 59m에 전폭 60m이며, 적재할 수 있는 최대 연료량은 24만 파운드(108t)다. 공군은 이미 공중급유기 조종사와 정비사, 급유 통제사 등을 선발해 사전 교육을 마쳤다. 급유 대상 기종은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K와 KF-16 이외에 내년부터 2021년까지 40대가 도입될 F-35A 등이다.



공중급유기 전력화로 우리 공군 전투기의 공중 작전시간은 1시간 이상 늘어나게 된다.

현재 KF-16 전투기에 연료를 가득 채우면 독도에서 10여 분, 이어도에서 5분가량 작전할 수 있다. F-15K는 독도에서 30여 분, 이어도에서 20여 분 수준이다.

공중급유기를 이용해 연료 공급을 받게 되면 F-15K의 작전시간은 독도에서 90여 분, 이어도에서 80여 분으로 크게 늘어난다.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김진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