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유성기업 노조 임원폭행 파문 확산]유성기업 노조 '막가파' 행태에...이해찬도 "재발 절대 안돼"

李 "우분투재단 좋은사례 만들어"

경사노위 불참에 간접적 압박도

한국당은 "정부가 방조" 목청 높여

사측 자진퇴거 10차례 요청에도

노조 45일째 사무소 불법 점거

"도 넘었다" 비난 목소리 고조

회사 임원을 감금하고 집단 폭행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유성기업 노조의 도를 넘은 행태에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집권당 대표까지 나서 “이런 일이 절대로 다시 발생해서는 안 된다”며 비판했지만 유성기업 노조는 서울사무소 불법 점거를 45일 넘게 이어가며 요지부동이어서 관계기관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비등하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노조가 기업 임원을 폭행하는 사태가 발생했는데 이런 일이 다시는 발생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저지하지 못한 경찰에도 큰 책임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며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은 이런 상황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세우길 엄정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홍영표 원내대표의 지역사무소가 민주노총에 불법점거돼 있어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이 대표가 작심 발언을 할 만큼 이번 폭력사태를 도를 넘어선 행위로 인식한 것이다.

무엇보다 이 대표가 공을 들여온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민주노총이 끝까지 불참하자 실망감도 더해졌다는 분석이다. 실제 이날 이 대표는 ‘사무금융 우분투재단’을 언급하며 경사노위에 불참한 민주노총을 간접적으로 압박하기도 했다. 이 대표는 “그동안 노조가 임금 인상을 위한 투쟁 위주로 활동해왔는데 ‘나눔과 연대’를 표방하는 우분투재단을 만들어 좋은 선도적 사례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우분투재단은 제2금융권 기업과 노조의 합의로 600억원 규모의 기금을 출연, 비정규직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이날 출범했다.




자유한국당은 유성기업 노조의 폭력사태는 현 정부가 지나치게 친노동정책을 밀어붙인 결과라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김병준 한국당 비대위원장은 “민주노총이 권력에 취해 세상을 자기들 것처럼 여기고 촛불청구서를 들고 국회와 검찰 청사까지 점거하겠다는데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는 이를 방조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당 김무성 의원은 “공권력이 무너지고 민주노총이 나라를 망치는 문제는 모두 문 대통령 책임”이라고 쏘아붙였다.


유성기업의 노사 갈등은 지난 201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기업은 자동차 엔진에 들어가는 피스톤링·에어컴프레셔 등을 만드는 부품회사다. 민주노총 금속노조에 소속돼 있는 유성기업지회는 2011년 주간 2교대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였고 당시 사용자 측이 직장폐쇄를 결정하고 양측이 대치를 이어가면서 유혈사태가 발생했다. 유성기업은 당시 현대·기아자동차와 쌍용자동차 등에 납품했기 때문에 완성차 업계가 생산 중단 위기에 몰리기도 했다. 유성기업은 회사를 점거한 조합원을 해고했고 해를 거듭하면서 양측의 골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유성기업지회는 노사 교섭에 유시영 회장이 직접 나와야 한다고 주장하며 지난달 15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서울사무소를 불법 점거해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노조는 임금인상과 해고자 복직 등을 요구하며 전면 파업을 벌이고 있기도 하다. 사측은 노사 교섭에 유 회장이 직접 참여할 필요는 없으며 노무 담당 임원이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양측의 대립이 격화하면서 22일 급기야 조합원 7명이 김모 유성기업 노무 담당 상무를 1시간 동안 집단 구타해 전치 12주의 중상을 입히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당시 경찰이 직원의 신고를 받고 출동했지만 40여분간 폭행이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유성기업 사측은 정상적인 근무가 불가능하다며 10차례 넘게 노조 측에 공문을 보내 자진 퇴거를 요청했으나 노조는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
/송종호·변재현기자 joist1894@sedaily.com

변재현·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