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이용섭, 현대차 노조 처음 만났지만...'광주형 일자리' 평행선

李시장, 울산공장서 협조 당부

노조 "일자리 빼앗는 과잉투자"

이용섭(왼쪽) 광주시장이 30일 오전 울산시 북구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노동조합 사무실을 방문해 하부영 현대차 노조지부장과 면담을 마치고 악수하고 있다. /사진제공=광주광역시이용섭(왼쪽) 광주시장이 30일 오전 울산시 북구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노동조합 사무실을 방문해 하부영 현대차 노조지부장과 면담을 마치고 악수하고 있다. /사진제공=광주광역시



이용섭 광주시장이 30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을 찾아 노조 집행부와 ‘광주형 일자리’에 대해 처음으로 직접 대화를 나눴으나 서로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


이 시장은 이날 오전 김동찬 광주시의회 의장과 이병훈 문화경제부시장 등 수행단 10여명과 함께 현대차 울산공장 노조 사무실을 방문해 하부영 현대차 노조지부장 등 노조 집행부와 면담했다. 이 시장은 “광주형 일자리를 우려하는 울산시민과 노조의 입장을 이해하고 있지만 광주 경제가 너무 어렵다”며 “노조가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관련기사



이 시장은 “광주형 일자리는 기존 일자리를 빼앗거나 노동자들의 희생을 강요하는 정책이 아니다”라며 “이 정책이 성공하면 해외로 나간 우리 공장도 국내로 돌아오게 돼 기존 일자리 지속 가능성이 커진다”고 말했다. 이어 “광주형 일자리가 추진되면 수소차 등 현대차와 울산시가 추진하는 신산업이 잘될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는 등 광주시가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하 지부장은 그동안 주장해온 광주형 일자리 문제점을 재차 강조했다. 하 지부장은 “이미 자동차 생산공장이 포화한 상태에서 광주형 일자리는 과잉 투자”라며 “이 정책이 잘되면 기존 노동자 일자리가 없어질 것이고 안되면 또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정책 확대는 지자체 간 저임금 정책을 부추기게 될 것”이라며 “노동자 주머니가 두꺼워져야 경기가 상승한다”고 덧붙였다.

이 시장과 김 의장은 이날 현대차 울산공장 정문 앞에서 현대차 직원과 가족에게 보내는 호소문도 발표했다. 그러나 현대차 노조는 면담 직후 보도자료를 통해 “광주형 일자리 관련 울산시민 설문조사 결과 66.7%가 반대했고 ‘울산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도 63%가 공감했다”고 밝히며 반대 의견을 분명히 했다. 울산=장지승기자 jjs@sedaily.com

광주=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