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울릉도 토종 미생물’서 말라리아 치료물질 발견

생명공학연구원, 토양 활용한 생물자원 확보

울릉도 저동항 전경/이미지투데이울릉도 저동항 전경/이미지투데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은 6일 항암 물질연구단 연구팀이 울릉도 토종 희귀 미생물(방선균)로부터 새로운 항말라리아 물질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방선균은 토양·식물체·동물체·하천·해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세균이다. 외생포자를 만드는 점에서 곰팡이(진균)와 비슷하나, 원핵세포를 가지는 특징을 갖는다. 다양한 구조의 저분자 화합물을 생산하는 방선균은 수십년간 신약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생물자원으로 꼽혔다. 다만 분리나 배양이 까다로워 제한적인 조사만 가능하다.


생명연 연구팀은 울릉도 흙을 이용해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신규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했다. 국내의 다양한 자연환경이 미생물 자원 확보에 쓰였으나, 울릉도 토양에 서식하는 방선균 생리활성물질의 생산 능력을 이용한 것은 처음이다.

연구팀은 매우 느리게 생장하는 균을 울릉도 흙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했다. 실험실에서 희귀 방선균 배양을 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 세균 성장을 돕는 특수 물질(선별 배지)을 도입했다. 분리한 균을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보다 매우 긴 기간에 걸쳐 배양한 이후 배양 추출액 성분을 조사했다.


이를 바탕으로 희귀 방선균(Catenulispora sp. KCB13F217) 배양액으로부터 4종의 신규 화합물을 발견했다. 새 화합물은 희귀 방선균 속명을 따 ‘카테누리스포로라이드 A∼D’(catenulisporolides A∼D)라고 명명했다.

관련기사



생리활성 검정 결과 카테누리스포로라이드는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말라리아의 원인인 중 하나인 열대열원충(Plasmodium falciparum 3D7)에 대해 저해 활성을 보였다.

해당 화합물 구조를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유도체 물질은 말라리아 치료제인 클로로퀸 저항성 열원충에 대해 우수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말라리아약을 듣지 않게 만드는 기생충을 저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안종석 항암 물질연구단장은 “울릉도 토양으로부터 희귀 미생물을 분리해 신규 이차 대사산물을 뽑아낸 것”이라며 “국내 중요한 자원으로서 울릉도 토양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는 성과”라고 말했다.

/정현정 인턴기자 jnghnjig@sedaily.com

정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