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18 지역경제 리더]경남농협, 지자체·농촌 소통 場 '토크콘서트' 열어

김경수 지사 "농산물 수급조절 모델 만들 것"

도내 조합장·농민 등 500여명 참석

농업 정책·농촌 실상 등 문제 다뤄

김병원 회장도 "재도약에 힘쓸 것"

김경수 경남도지사와 김병원 농협중앙회 회장이 지난달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완전히 새로운 경남, 함께하는 농협’ 토크콘서트를 가진 후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경남농협김경수 경남도지사와 김병원 농협중앙회 회장이 지난달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완전히 새로운 경남, 함께하는 농협’ 토크콘서트를 가진 후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경남농협



지난달 경남에서는 농업인들에게 큰 관심을 받은 토크콘서트가 열렸다. 경남농협이 추진한 김경수 경남도지사와 김병원 농협중앙회장의 토크콘스터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농산물 수급 조절을 위한 바람직한 모델을 경남도가 나서서 만들어 보겠다”고 했다. 어려운 농업인들의 소득 안정을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농협과 적극 협력하겠다는 것이다.

경남농협은 지난달 19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김 지사와 김 회장을 초청해 ‘완전히 새로운 경남, 함께하는 농협’이라는 주제로 토크콘서트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도내 농협 조합장, 농민, 농업단체 관계자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1시간20분가량 진행됐다.


김 지사는 농업정책의 규모화와 인구 감소를 비롯한 농촌 실상, 여성·청년 농업인 문제 등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밝혔다.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농산물 수급 안정 부분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김 지사는 “수급 안정은 농촌의 미래와 직결되는 부분이고 이 문제는 수십 년 전부터 제기됐다”며 “대책이 안 나온 적이 없고 그때마다 실패했는데 그렇다면 정말 방법이 없는 것일까”라며 운을 뗐다. 그는 또 “품목별 적정 가격은 어느 정도 생산하면 되는지에 따라 대략 나오는데 특정 작물이 적정 면적을 몇 배씩 초과해 재배된다는 것이 문제”라며 “결국 어떻게 적절히 맞출지에 대한 해법이 나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소한 경남만이라도 계획재배 면적과 실제 생산 면적을 일치하게 만들어봤으면 한다”면서 “이 문제만큼은 재임 기간 모델을 만들어 꼭 풀어보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일부 농산물은 전국적으로 수요 조절 실패에 따른 가격 폭락을 되풀이하고 있다. 이때마다 ‘산지 폐기’되고 ‘소비 독려’를 하지만 해결이 되지 않고 있다. 이에 정부는 배추·무·건고추·마늘·양파에 이어 7월 겨울대파·배·풋고추를 ‘수급조절 품목’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계획재배 면적과 실제 생산 면적에 대한 신뢰할만한 통계를 집계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김 지사는 이러한 상황을 지자체 차원에서 계획을 세워 적극적으로 나서보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김 지사는 농민들 또한 도와줘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농민들이 계약 재배를 하기로 했으면 그 수준까지만 해야 하는데 노는 땅이 아까워 더 하는 경우가 많다”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김 회장도 반기며 협력하겠다는 뜻을 보였다. 그는 “농협을 비롯해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 기관들이 지금까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대로 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며 “이번 김 지사 제안에서 희망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농협 역시 더 적극적으로 움직이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 콘서트를 계기로 위축된 경남의 농촌과 농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경남도를 비롯한 지자체, 유관기관, 관련 단체와 힘을 합쳐 경남 농업이 재도약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창원=황상욱기자 sook@sedaily.com

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