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시그널]금리인상에 고민 커지는 공제회

행정공제회 등 지급률 줄줄이 상향

투자환경 악화로 운용 부담 가중

공제회가 국내외 금리 인상 기조에 따라 회원들에게 돌려주는 이자인 지급률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공제회 내부에서는 올해 국내 주식 수익이 악화하는 등 지급률의 기반이 되는 투자 환경이 나빠지면서 고민이 커지고 있다.

1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행정공제회는 내년 1월1일부터 이자에 해당하는 퇴직 급여율을 연 3.40%에서 3.55%로 올리기로 했다. 군인공제회도 지급률을 내년 1월1일부터 3.26%에서 3.43%로 인상한다. 소방공제회도 내년부터 급여율 인상을 검토 중이다. 경찰공제회·과학기술인공제회는 올해 급여율을 각각 3.58%, 4.1%로 상향 조정했다.


지난해까지는 대부분의 공제회가 저금리 기조에 맞춰 지급률을 줄줄이 낮췄다. 공제회 지급률 자체가 일반 은행보다 높고 세제혜택까지 있다는 점에서 인상 자체가 이례적인 일로 평가된다. 주요 공제회가 이자율을 높인 것은 이자율 산정이 주로 시중은행 예·적금 금리, 3년 만기 국공채 금리를 기반으로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50%에서 1.75%로 올린 영향이 컸다.



문제는 올해 공제회들이 대부분 국내 주식투자에서 지난해 대비 최대 20%가량 손실을 봤다는 사실이다. 자산운용 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내 주식 수익률이 연초 대비 17%가량 하락했는데 대부분의 공제회가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컸던 대형주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20%가량씩 손실을 낸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공제회는 대부분 국내주식·국내채권·해외주식·해외채권·대체투자(부동산·인프라·사모펀드)로 자산을 배분하고 있다. 특히 국내주식의 비중은 적게는 20%에서 많게는 40%여서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더구나 공제회 지급률의 기준이 되는 한은 기준금리나 국공채 금리는 주로 단기 기준으로 중장기 투자환경이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반영되지 않았다. 공제회 관계자는 “국내 주식을 비롯해 투자환경이 어려운 가운데 높아진 지급률을 맞추기 위해 더 운용을 잘해야 하는 상황”이라면서 “다만 내년에는 국내외 정책금리가 가파른 인상 기조에서 벗어나면서 투자환경에 적응하는 시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