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살생부에 복당파 포함되나...뒤숭숭한 한국당

김용태도 명단 포함설 나돌자

물갈이 규모 커지나 바짝 긴장

"국정농단·분열 책임 물을 것"

조강특위, 심사기준 재차 강조

자유한국당 인적쇄신 작업을 진행 중인 조직강화특별위원회의 ‘당협위원장 탈락 명단’에 친박(친박근혜)계뿐 아니라 비박 복당파 핵심인사들도 포함됐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면서 당내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했다. 다음주 명단을 확정 발표할 조강특위는 ‘배제 기준’ 중 하나로 ‘당 몰락에 책임 있는 인사’를 꼽고 지난 2016년 공천 파동, 국정농단과 탄핵, 당 분열(탈당 및 바른정당 창당), 6·13지방선거 패배를 구체적 사례로 제시했다. 공천 파동과 탄핵 책임의 칼끝이 친박을 향한다면 분당은 비박 복당파를 정면 겨냥하고 있다.


전주혜 조강특위 위원은 14일 국회에서 ‘조강특위 경과보고 기자간담회’를 열어 “2016년 총선 당시 공천 파동과 국정농단 사건, 탄핵, 당 분열, 6·13지방선거 참패에 이르기까지 누가 책임을 지는 자리에 있었는지 등을 (탈락의) 첫 번째 기준으로 삼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조강특위는 인적청산 ‘7대 원칙’ 중 하나로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관련 인사’라는 기준을 제시한 바 있고 국정 농단 사태를 초래한 친박계가 적용 대상으로 언급돼왔다. 그러나 이날 “국정농단과 탄핵, 당 분열도 당의 균열점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분당을 거론하면서 책임 대상이 바른정당을 창당했다가 돌아온 비박 복당파로도 확장됐다. 전 위원은 명단 내용이나 구체적인 규모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지만 당내에서는 “살생부(당협위원장 탈락 명단)에 포함되는 현역 규모가 예상보다 커질 것”이라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복당파이자 조강특위 위원장인 김용태 사무총장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는 소문이 돌자 김 총장이 특위 외부위원들에게 “나에 대해 신경 쓰지 말고 기준대로 평가하라”고 당부한 사실도 알려졌다. 특정 계파(친박)에만 책임을 물어 인적청산에 나설 경우 후폭풍이 만만치 않은 만큼 비박계 내 탈락자도 비슷한 수준에서 유지하며 균형을 모색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우세하다.

관련기사



전 위원은 ‘야당 의원으로서의 전투력’도 핵심 심사 기준으로 언급했다. 그는 “정부나 여당에 대한 견제, 대안 제시 능력이 뒷받침돼야 함에도 이 같은 자질이 미흡하다는 국민 질타가 있었다”며 “강세지역에 안주한 다선 의원들에 대해서는 좀 더 엄정한 기준을 적용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조강특위의 결론이 얼마나 관철될지는 불투명하다. 나경원 원내대표가 대규모 물갈이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치며 인적쇄신을 강조해온 비상대책위원회와 온도 차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전 위원은 조강특위의 당협위원장 교체 명단이 비대위에서 추가되거나 줄어들 가능성에 대해 “위원회 결과를 존중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오른쪽 두번째)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상임위위원장 간사단 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오른쪽 두번째)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상임위위원장 간사단 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전주혜 자유한국당 조강특위위원이 14일 오전 국회에서 조직강화특별위원회 경과 설명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전주혜 자유한국당 조강특위위원이 14일 오전 국회에서 조직강화특별위원회 경과 설명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