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KAI 2,000억 규모 의무후송 전용헬기 양산 계약 체결

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KAI)은 14일 방위사업청과 약 2,000억원 규모의 의무후송 전용헬기 양산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의무후송전용헬기는 국산헬기 수리온을 기반으로 다양한 의무 장비를 추가해 응급환자의 빠른 후송과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개발됐다. 중증환자 2명의 응급처치가 가능하며 최대 6명의 환자를 동시에 후송할 수 있다.


국내에서 의무후송 전용헬기가 도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오는 2020년까지 전력화를 마칠 예정이다. KAI는 지난 2014년 의무후송 전용헬기 체계 개발에 착수해 2016년 12월 전투용 적합판정을 받고 국방규격제정을 승인받아 개발을 완료했다.

관련기사



산소공급장치,의료용 흡인기, 심실제세동기, 인공호흡기, 환자감시장치 등 첨단 응급의료장비가 장착됐다. 산악지형에서도 원활한 구조임무가 가능하며 장거리 임무수행을 위한 보조연료탱크도 추가 장착할 수 있다. 의무후송 전용헬기가 전력화되면 국가 재난 시에도 의료·재난구조를 지원해 국민안전과 복지향상에 기여할 전망이다.

KAI 관계자는 “의무후송 전용헬기로 ‘골든타임’ 내 응급조치 능력이 강화되면 군 전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수리온 운용실적을 바탕으로 동남아시아 등에 수출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한신 기자 hspark@sedaily.com

박한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