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유전자 활성 동시관측' 등 올해 세계 과학 혁신성과 10선 꼽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발생학뿐 아니라 암 등 생명과학 연구에 도움"

중성미자 발원지, 그린란드 운석 충돌흔적 밝힌 것도 혁신성과 포함

반면 유전자 편집 아기 연구, 기후변화 대응 부재 등 문제점 지적도

올해 과학 혁신성과 10선 보도한 사이언스 표지올해 과학 혁신성과 10선 보도한 사이언스 표지



세포에서 여러 유전자의 활성을 한 번에 볼 수 있는 ‘단일 세포 RNA 시퀀싱’(Single-cell RNA sequencing)이 과학 분야 ‘올해 혁신성과’(Breakthrough of the Year)로 꼽혔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1일 올해 10대 혁신성과로 통해 단일 세포 RNA 시퀀싱을 통해 발생학뿐 아니라 암이나 당뇨 등의 질환을 이해해 생명과학 연구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실제 이 기술로 초파리와 예쁜 꼬마선충 등 생물의 발달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미국 하버드 의대 연구진은 올해 열대어의 일종인 제브라피쉬에서 수정란이 분열하며 25개 세포 유형을 생성해 가는 과정을 밝히기도 했다.


온라인상 유전정보를 단서로 1970∼1980년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연쇄살인을 저지른 ‘골든스테이트 킬러’를 잡은 것도 혁신성과로 꼽혔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RNA간섭’ 현상을 기반으로 한 약물이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것과 분자 구조를 알아내는 방법을 개발한 것도 성과로 올랐다.

관련기사



고에너지 중성미자의 발원지를 알아낸 연구 결과도 혁신성과다. 카르스텐 로트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을 포함해 12개국 300여명이 참여한 아이스큐브연구단은 고에너지 중성미자의 우주 근원 중 하나가 ‘블레이자’라는 사실을 증명했다. 블레이자는 중심에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무거운 블랙홀이 존재하는 거대한 타원형 은하다.

시베리아의 한 동굴에서 5만 년 전 살았던 소녀의 뼈 화석을 연구한 결과, 소녀의 어머니는 네안데르탈인, 아버지는 데니소바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두 인류는 3만∼4만 년 전 멸종했는데 이들 사이에 종간교배가 있었던 게 확인됐다.

그린란드 북서단 히아와타 빙하 아래에서 거대한 운석 충돌 흔적을 발견한 것과 고대 생물 디킨소니아가 동물임을 밝힌 것, 과학계의 미투(#MeToo) 운동 등도 혁신성과에 들어갔다.

사이언스는 중국 연구진의 유전자 편집 아기 출산,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증가와 대응 부재 등을 올해 과학계의 문제로 꼽았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