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건강 팁] 중년 치아교정

미용보다 잇몸질환 예방 도움

교정전 치주염 치료는 필수




김윤지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치과교정과 교수

흔히 치아교정은 청소년이나 젊은 성인들만 하는 것으로 생각했지만 최근 중장년층의 치아교정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치과교정학회가 서울·부산·대구 등 5개 대도시 대학·종합병원 치과교정 환자를 조사해보니 40대 이상 연령층의 비중이 지난 2010년 6.8%에서 지난해 8.0%로 증가했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중장년층도 종전보다 오래 사회생활을 하는데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치아교정은 어릴수록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구치가 다 나온 초등학교 5~6학년 정도에 할 것을 대개 추천한다. 주걱턱처럼 턱 성장의 부조화가 심한 경우 성장이 끝난 20대에 교정을 추천하기도 한다.


하지만 40대 이후 중장년층이라고 해서 치아교정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교정치료는 평생 한번 하는 게 아니라 필요하면 부분적으로 하는 경우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관련기사



중장년층의 교정치료는 나이가 들면서 서서히 변화하는 치열을 교정해 잇몸질환과 치아상실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치아의 배열이 나쁘면 칫솔질을 잘 해도 구강 위생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치주염 같은 풍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치아교정으로 치아배열을 고르게 하면 위생관리가 쉬워져 치주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그래서 중년 이후라도 교정치료를 하는 것이 잇몸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치아가 빠져 인접 치아가 쓰러진 경우, 반대쪽 치아가 비정상적으로 올라오거나 내려간 경우 임플란트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이때도 임플란트 전에 치열을 가지런히 하는 ‘실버 교정’ 치료를 하는 게 좋다.

중장년층의 치아교정은 치주염 치료로 잇몸의 염증을 조절한 뒤 해야 한다. 다른 기저질환이 있는지도 살펴봐야 한다. 당뇨병·고혈압·심혈관계질환 등 전신질환이 있거나 평소 다른 질환으로 약물을 복용 중이라면 치아교정 전에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할 필요가 있다. 나이가 들면 치아가 미세하게 손상되거나 패인 경우가 많으므로 평소 치아·잇몸 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김윤지 서울성모병원 치과교정과 교수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