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개성행 南北철도 현대화 사업 특별열차, 서울역서 출발

오전 10시 남북 착공식 개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왼쪽 세번째)과 각당 의원들이 26일 오전 개성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착공식’ 출발 전 서울역 귀빈실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더불어민주당 이인영·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 김현미 장관, 더불어민주당 송영길·윤관석 의원,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서울 공동취재단=연합뉴스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왼쪽 세번째)과 각당 의원들이 26일 오전 개성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착공식’ 출발 전 서울역 귀빈실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더불어민주당 이인영·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 김현미 장관, 더불어민주당 송영길·윤관석 의원,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서울 공동취재단=연합뉴스



남북간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사업 착공식에 참석할 남측 참석자들이 26일 9량으로 편성된 특별열차를 타고 북측 개성 판문역으로 향했다. 남북교류와 북핵 협상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열리는 착공식을 계기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재차 탄력을 받을 지 주목된다.

통일부에 따르면 남측 참석자들은 앞서 오전 6시48분께 9량으로 편성된 특별열차를 타고 서울역을 출발, 북측으로 이동했다.

이들이 탄 열차는 오전 8시께 도라산역을 지나 군사분계선(MDL)을 통과한 뒤 판문역에 당도할 예정이다. 북측 참석자들도 열차를 타고 판문역으로 내려올 예정이다.


남북은 이날 오전 10시 판문역에서 양측 주요 인사 각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의선·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착공식’을 개최한다.



착공식 본행사는 북측 취주악단의 개식 공연으로 막을 올린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북측 대표가 착공사를 한 뒤 남북의 철도·도로 협력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행사가 열린다.

김현미 장관과 김윤혁 북한 철도성 부상의 침목 서명식에 이어 궤도를 연결하는 궤도 체결식, 그리고 도로표지판 제막식이 이어진다. 이후 남북 참석자들은 함께 기념촬영을 할 계획이다. 남측 참석자들은 개성공단 내 숙박시설인 송악플라자에서 따로 오찬을 한 뒤 다시 열차를 타고 오후 3시께 서울역으로 귀환한다.

이날 착공식에는 남북관계와 교통 등을 다루는 장관급 인사들을 비롯해 남북의 고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다. 남측에서는 정부 인사로 김현미 장관과 조명균 통일부 장관,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 등이 참석하며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주승용 국회부의장 등 정치권 인사들이 함께한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부인의 건강 문제로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향이 개성인 김금옥 할머니 등 이산가족 5명과, 2007년 12월부터 약 1년간 운행한 경의선 남북 간 화물열차를 마지막으로 몰았던 기관사 신장철씨 등 이번 행사의 의의를 더할 인물들도 초대됐다. 북측에서는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주빈으로 대남 경제협력사업을 담당하는 민족경제협력위원회의 방강수 위원장, 박명철 민족경제협력위원회 부위원장, 김윤혁 철도성 부상, 박호영 국토환경보호성 부상, 최병렬 개성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한다. 정부의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구상과 관련이 있는 국가인 중국·러시아·몽골 인사들과 국제기구 대표도 행사에 함께 한다. 옌 허시앙 중국 국가철로국 차관보, 블라디미르 토카레프 러시아 교통부 차관, 양구그 소드바타르 몽골 도로교통개발부 장관, 강볼드 곰보도르지 몽골 철도공사 부사장, 아르미다 알리샤바나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UNESCAP) 사무총장과 함께 중·러·몽골의 주한대사 또는 대사대리가 참석한다.

한편 정부는 방북하는 특별열차와 무대 설치에 필요한 장비 등 일부 물자에 대해서는 미국과의 협의를 거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로부터 정식으로 제재면제 승인을 받았다.
/서울공동취재단·박우인기자 wipark@sedaily.com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