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 70% “가습기 살균제 참사 제대로 처리되지 않아”

58% "기업 책임"…40%는 '정부에 가장 큰책임' 응답

환경부는 지난 2017년 12월 27일 제5차 가습기 살균제 피해구제위원회를 열어 안건 4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서울경제 DB환경부는 지난 2017년 12월 27일 제5차 가습기 살균제 피해구제위원회를 열어 안건 4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서울경제 DB



가습기 살균제 참사 사건과 관련해 한국인 10명 중 7명은 아직 문제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명 중 6명은 기업에, 4명은 정부에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이러한 내용이 담긴 가습기 살균제 참사 사건 관련 여론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환경보건시민센터와 서울대 보건대학원이 리서치뷰에 의뢰해 지난달 17일부터 3일간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습기 살균제사건 진행 상황을 묻는 항목에 대해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이 69.7%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잘 모름’, ‘잘 해결되었을 것’이라는 응답은 각각 18.0%, 12.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이번 사건의 가장 큰 책임이 누구에게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7.8%는 기업을 선택했고, 정부(40.5%)와 소비자(1.6%)가 뒤를 이었다.

가습기 살균제 사용 경험과 관련해 응답자의 25.8%가 사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이들 가운데 피해신고를 한 이들은 4.1%에 불과했다. 피해신고를 하지 않은 이유로는 ‘건강피해가 없다고 생각해서’가 42.6%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신고해봐야 별 효과가 없을 것 같아서’(21.5%), ‘신고해야 하는지 몰라서’(20.0%), ‘구매증거가 없어 신고해도 소용없을 것 같아서’(16.0%)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신고 참여가 저조한 이유에 대해 환경보건시민센터 관계자는 “그동안 제조사와 정부가 가습기 살균제 피해대책에 대해 매우 소극적이고 사실상 외면해왔기 때문”이라며 “적극적으로 잠재적 피해자를 찾아 치료와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변문우인턴기자 bmw1017@sedaily.com

변문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