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과 청소년 전문가들은 우리보다 수십 년 전부터 다문화 정책을 펼쳐온 해외 선진국의 정책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가장 대표적인 다문화 정책 선두주자는 캐나다로 꼽힌다. 지난 1960년대에 영국과 프랑스 중심의 2언어·2문화주의에 대해 캐나다 서부지역 주민들이 반발하자 캐나다는 1971년에 2문화주의를 폐기하고 다문화주의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기 시작했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밴쿠버는 이미 유색인종의 비율이 백인 인구를 넘어섰다.
에릭 코프만 런던대 교수는 캐나다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캐나다 밴쿠버 주민 10명 중 7명은 이른바 소수라 불리는 유색인종(Non-Whites)이고 나머지 3명이 백인”이라면서 “캐나다가 현재의 이민 정책을 고수한다면 100년 이내에 캐나다 전체 인구의 80%가 유색인종으로 채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때 백호주의의 정책을 고수한 호주 역시 1970년대 이후부터 다문화 정책을 도입하면서 해외에서 이주해온 이주민들을 포용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정했다. 호주의 빅토리아주의 경우 ‘빅토리아 다문화위원회’를 두고 다문화 정책의 허점을 찾아내고 이를 건의해 정책에 반영하는 작업도 병행했다. 특히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다문화 정책을 추진하는 한국과 달리 모든 정부기관에 다문화주의를 적용해 이민자를 ‘그들’이 아닌 ‘사회의 한 부분’으로 수용했다. 이 같은 다문화 정책으로 인해 외국에서 출생한 사람이 전체 인구의 28.2%(2015년 말 기준)를 차지할 정도로 이민자들이 호주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한국보다 뒤늦게 다문화 정책을 추진한 대만도 ‘횃불 계획’을 통해 이민자들과의 융합에 성공한 케이스로 평가된다.
횃불 계획은 대만 정부가 2012년부터 시작한 다문화 정책으로 지방의 신베이시가 2007년부터 추진한 정책을 전국 범위로 확대한 정책이다. 이 정책은 다문화가정의 학생 비중이 높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교육과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지역 주민과의 소통의 장을 만들어 통합을 꾀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한 관계자는 “대만의 횃불 계획은 동남아시아와 중국에서 건너온 이주여성과의 결혼,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을 통한 다문화가정을 흡수하거나 동화를 강조한 것이 아니다”라면서 “다문화가정 구성원과 양방향적인 교류를 통해 다양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돼왔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