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AIST, 세포속 단백질 전달효율 향상 기술 개발

DNA기반 나노구조체 만들어...항암치료 효과 기대

세포 내 단백질 치료제 전달 기술을 표지논문으로 다룬 국제학술지 스몰.세포 내 단백질 치료제 전달 기술을 표지논문으로 다룬 국제학술지 스몰.



국내 연구진이 세포 내 단백질 치료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길을 열어 항암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지 관심이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학성 교수와 류이슬 박사, 강원대 이중재 교수, 한국원자력연구원 강정애 박사 연구팀이 세포 속 단백질 전달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생체 분자인 유전자(DNA)를 기반으로 나노 구조체를 만들었다. 이 구조체는 다양한 단백질을 생체 친화적이면서 특정 세포로의 높은 전달력을 보였다. 실제 폐암 동물 모델 실험에서 항암 물질을 잘 전달해 높은 항암 효과를 가져왔다.

관련기사



제조공정을 보면 먼저 금 나노입자 표면에 DNA를 붙인다. 이어 DNA 염기서열을 인식해 결합하는 단백질인 아연집게로 각 DNA 가닥에 암세포를 타깃으로 생체 분자와 항암 단백질을 결합했다. DNA 서열과 길이를 조절해 나노 구조체에 탑재한 단백질을 손쉽게 전달하는 것이다.

김학성 교수는 “세포 내 단백질 치료제를 잘 전달하는 것은 물론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선택하기 위한 동반진단에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지원으로 수행했고 국제 학술지 스몰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나노 구조체 제조 과정 설명도. /자료=한국연구재단나노 구조체 제조 과정 설명도. /자료=한국연구재단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