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학교 밖 청소년' 8만명 품는다

'서울형 대안학교' 45곳 순차 지정

연간 100억 투입해 양질 교육 보장

백호 서울시 평생교육국장이 30일 서울시청 브리핑실에서 ‘서울형 대안학교’ 조성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변재현기자백호 서울시 평생교육국장이 30일 서울시청 브리핑실에서 ‘서울형 대안학교’ 조성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변재현기자



서울시가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연간 약 100억원을 투입해 제도권 교육에 적응하지 못했던 청소년들을 대안학교로 흡수할 예정이다.

백호 서울시 평생교육국장은 30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서울형 대안학교’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대안학교는 제도권 학교에 적응하지 못해 학업을 중단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학교 밖 청소년은 서울시 학생 93만8,000명 중 약 8만명으로 추산되며, 학교를 그만 두는 사유 중 9.8%는 ‘부적응’이었다.

서울형 대안학교는 서울시의 지정기준을 맞춘 대안학교에 시 예산을 투입해 양질의 교육을 보장하는 정책이다. 2020년 15곳을 지정하고 2021년 30곳, 2022년 45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서울시에는 현재 82개 비인가 대안학교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형 대안학교에 대해서는 서울시가 시비 지원을 전체 운영비의 40%에서 70%로 확대한다. 대안학교 학생 1인당 연간 교육지원비는 공교육비(942만원)에 준하는 수준인 880만원(기존 1인당 500만원)까지 확대된다. 백 국장은 “대부분의 대안학교가 자체 건물이 없어 재정적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잦은 교원 이직을 막기 위해 교사를 학교당 3~7명 지원하고 보수 교육 등 연수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백 국장은 “서울형 대안학교 사업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흡수를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정을 위한 구체적 기준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서울시는 시민의 세금이 쓰인다는 점을 고려해 재정운영의 투명성을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종교·편향성을 배제해 교육이념의 보편성을 보장하는가와 대안교육·청소년 지도의 전문성을 보유했는가도 주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대안학교에 다니지 않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자치구 사업인 ‘청소년 지원센터 꿈드림’의 지원을 대폭 확대한다. 바리스타·공작 등 현장 인턴십 인원을 올해 300명으로 확대하고 검정고시 등 학업과 자격취득을 위한 학습비 대상도 지난해 130명에서 300명으로 늘린다. 진로탐색 장학금 사업은 올해 새로 신설돼 100명에게 1인당 150만원을 제공한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