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전세가 ‘역대급’ 하락에...세입자 ‘깡통전세’ 될까 전전긍긍

최근 입주물량 증가와 매매가 하락 등이 맞물리면서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 하락의 폭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1만 가구에 달하는 송파 ‘헬리오시티’의 입주 여파로 강남권 아파트 전세가는 역대 최고 수준의 내림폭을 보이고 있다. 이에 집주인이 집을 팔아도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깡통전세’가 속출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커지는 양상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월 넷째 주(1월 28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은 0.24% 내려 지난해 10월 29일(―0.01%) 이후부터 14주 연속 내리막을 걷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주 서울 전셋값 내림폭은 감정원의 주간 조사에서 역대 최대 낙폭을 기록했던 2012년 7월 2일(-0.24%)과 같은 수준이다. 감정원 관계자는 “수도권의 신규 입주 물량이 늘어났고 교통망 확충으로 수요가 분산돼 전셋값 하락세가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의 전세가 하락을 주도하는 건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다. 이번 주 강남 4구의 아파트 전셋값은 0.59%나 급락했다. 이는 감정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역대 최대 하락폭이다. 이 중 강남구가 -0.78%의 내림폭으로 가장 많이 떨어졌고, 강동구(-0.61%)·서초구(-0.49%)·송파구(-0.44%) 등이 뒤를 이었다.


강북권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강북권(한강 이북 14개 구)은 이번 주 0.12% 떨어진 것으로 조사돼 지난주(-0.06%)보다 전셋값이 더 추락했다. 성북구(-0.21%), 강북구(-0.19%). 마포구(-0.18%) 등은 그 중에서도 낙폭이 더 큰 지역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이에 세입자들 사이에는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집주인들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할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관악구 신림동의 한 세입자 조모(33)씨는 “2개월 뒤 현 전셋집의 계약이 만료될 예정”이라면서 “하지만 최근 집주인이 새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는 시기가 늦어질 수 있다고 해 돈을 떼이는 거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지난 25일 가계부채관리점검회의에서 “국지적인 수급 불일치로 전세금이 하락하고 임대인이 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할 위험이 커졌다”고 우려한 것 역시 이런 상황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자 ‘전세금 반환보증’의 가입자가 최근 급격하게 늘어나는 추세다. 이는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기 어려운 상황이 됐을 때 보증기관이 대신 전세보증금을 내주는 상품을 말한디. 이 상품을 취급하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경우 가입 건수가 지난해 총 8만9,350건으로 2017년(4만3,918건)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그만큼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할까 걱정하는 세입자들이 늘고 있다는 뜻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올해도 강동구 등에서 입주물량이 많아 당분간 전셋값 반등은 쉽지 않아 보인다”면서 “사전에 세입자들은 전세금 반환보증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1월 4주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1월 4주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