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故 김용균씨 오늘 발인 엄수…광화문 광장서 영결식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故 김용균 씨의 빈소에서 어머니 김미숙 씨와 아버지 김해기 씨가 분향을 하고 있다./연합뉴스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故 김용균 씨의 빈소에서 어머니 김미숙 씨와 아버지 김해기 씨가 분향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충남 태안화력에서 설비 점검 도중 사고로 숨진 비정규직 노동자 고(故) 김용균 씨의 발인이 9일 오전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엄수된다.

유가족과 노동계·시민사회 관계자 6천여명으로 구성된 ‘청년 비정규직 故김용균 노동자 민주사회장 장례위원회’는 이날 오전 4시께 발인해 노제와 영결식을 차례로 거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2월11일 고인이 숨을 거둔 지 약 두달 만에 치르는 장례는 ‘민주사회장’ 3일장으로 지난 7일부터 열렸다.

장례위원회는 발인에 이어 이날 오전 7시께 고인이 생전에 근무하던 태안화력발전소에서 1차 노제를 지낸다.

이후 다시 서울로 이동해 오전 11시께 흥국생명 광화문지점 앞에서 2차 노제를 지내고, 장례 대열을 갖춰 광화문 광장까지 행진한다.


광화문 광장에서는 정오께부터 고인의 영결식이 열린다.



영결식에서는 추모 공연과 함께 장례위원으로 참가한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김수억 금속노조 기아차 비정규직지회장 등의 조사가 이어진다. 일반 시민들의 헌화도 받는다.

김씨의 시신은 오후 2시30분께 고양시 덕양구 벽제서울시립승화원으로 옮겨 화장된다.

오후 5시30분께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 모란공원에서 열리는 하관식을 끝으로 모든 장례 절차가 마무리된다.

장례위원회 측은 “비록 장례 절차는 마무리하지만, 고인의 죽음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비정규직 철폐를 위해 동참했던 전국의 노동자와 시민은 고인의 염원을 계승하기 위해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호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