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김순철 대·중기·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 "대·중기 상생정책 주도…싱크탱크로 위상 확대"

조사연구·기획분야 강화

새로운 사업도 적극 발굴

정부 국정목표 기여할 것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양극화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국가경제 발전에도 이바지하는 일인 만큼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지난 1일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으로 취임한 김순철(사진) 전 신용보증재단중앙회장은 10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재단이 지난 만 14년간 닦은 기반과 구축한 인프라에 개인적으로 중기청 등에서 중소기업 정책을 담당하며 쌓은 지식과 경험 등을 더해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더욱 활성화시키겠다”면서 “아울러 ‘더불어 잘 사는 경제’라는 정부의 국정 목표에도 이바지하고 싶다”고 밝혔다. 김 신임 사무총장의 임기는 3년이다.


김 사무총장은 행정고시 27회로 공직에 입문해 경제기획원과 산업자원부 수출과장, 중소기업청 기획조정관 및 차장 등을 역임했다. 이후에는 신용보증재단중앙회장을 지냈다.

관련기사



김 사무총장은 현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더불어 발전하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해 5대 경영방침을 제시했다. 먼저 협력재단의 기능을 대·중소기업·농어업 상생협력 플랫폼뿐 아니라 상생협력 싱크탱크로 확대하기 위해 조사연구와 정책기획 분야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김 사무총장은 “재단이 그동안 해온 동반성장 관련 사업의 성과분석을 확실히 하고 이를 통해 정책 기능을 활성화하겠다”며 “정부의 위탁을 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 전문가 의견 수렴과 재단의 조사연구 등을 통해 새로운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사업을 적극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에 사업을 제안하는 싱크탱크의 역할을 하겠다는 뜻이다.

김 사무총장은 성과공유제 확산과 협력이익공유제 도입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상생결제 확산을 위해 이행실태 분석, 인센티브 확대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1~3차 협력사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상생협력기금 출연을 확대하고 은행 연계 전자시스템도 구축한다. 이 밖에 대·중소기업 상생형 스마트공장 건설에 적극 참여하며 해외진출기업의 수·위탁거래 공정화와 기술유출 방지에도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