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토요워치-전당대회] 당내 파워vs대중 인지도…'전대 룰' 따라 희비 엇갈려

■ 게임의 법칙이 가르는 전당대회

지도체제 단일·집단으로 나뉘어

당권 유력주자는 단일 체제 선호

최고위원 주자는 집단 체제 원해

2315A02 정당 지도체제 비교



전당대회를 즈음해 ‘뜨거운 감자’가 되는 것이 바로 ‘전대 룰(rule)’이다. 선수(출마)자격과 토론회 횟수, 투표비율 등 전반적인 규칙이 담긴 일종의 ‘게임의 법칙’이다. 당헌·당규로 정해지는 룰에 따라 희비가 크게 엇갈리는 만큼 대부분의 전대 과정에서는 이 룰에 대한 해석을 두고 후보 간 신경전이 치열하게 펼쳐진다. 실제로 오는 27일 당 대표 선출 전당대회가 예정된 자유한국당은 TV 토론회 횟수 등 전대 룰을 둘러싼 논란 속에 일부 주자들이 보이콧을 선언하는 등 내홍을 겪기도 했다.


◇단일? 집단? 지도체제가 뭐길래=당 대표 선출 전당대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룰이 바로 지도체제다. 지도체제는 전대 구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변수다. 정당의 지도체제는 크게 ‘집단지도체제’와 ‘단일성 지도체제’로 나뉜다. 전자는 하나의 투표에서 최고 득점자가 대표가 되고 차점자는 최고위원이 되는 통합선출 방식이다. 반면 단일성 지도체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선출하기 때문에 전자보다는 당 대표에게 막강한 힘이 실린다. 민주당은 2000년대 들어 주로 집단지도체제를 채택해왔지만 지난해 8월 치른 전대 때 단일지도체제로 변경했다. 한국당의 경우 김무성 대표 시절에는 집단지도체제를, 홍준표 대표 때는 단일지도체제를 채택했으며 이번 전대에서도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단일체제는 대표가 ‘강한 그립’을 쥐고 당 운영을 주도한다는 강점이 있지만 ‘소통 부재’ ‘일방 독주’로 흐르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집단체제는 대표·최고위원 간 소통으로 당내 민주성이 확립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표가 최고위에 끌려다녀 당 운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단점도 무시할 수 없다. 실제로 한국당의 경우 김 대표 시절에 집단체제였지만 당시 당내 주류였던 친박계 최고위원들의 입김이 커 대표의 추진력이 떨어졌고 그 결과 2016년 총선 때 공천 파동 등 계파 갈등이 심화되기도 했다.

관련기사



◇당원 vs 일반시민 목소리 크기는=당원투표와 국민여론조사 비율도 경선의 당락을 좌우하는 주요 변수다. 당내 파워가 센 경우에는 전자,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후보는 후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유리하다. 실제로 2014년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이인제 전 의원의 경우 당원투표 성적은 저조했지만 국민여론조사에서 많은 표를 얻어 최종 4위로 지도부에 입성했다. 당시 당원투표와 국민여론조사 비율은 7대3이었다. 지난해 8월에 열렸던 민주당의 당 지도부 선출 전당대회 역시 투표 반영 비율로 순위가 바뀐 대표적인 케이스다. 당시 민주당 전대의 투표 반영률은 현장 대의원 투표 45%, 권리당원 자동응답시스템(ARS) 투표 40%, 국민여론조사 10%, 일반당원 여론조사 5%였다. 기존 선거보다 비중이 10%포인트 높아진 권리당원 투표의 위력은 대단했다. 최고위원 후보 8명 중 최종 득표율 1위는 박주민 의원으로, 박 의원의 현장투표 득표율은 14.7%로 3위였으나 권리당원 ARS에서 27.3%의 득표율을 보여 최종 득표율이 뒤집혔다. 역시 대의원 현장투표에서 6위(11.3%)를 차지했던 김해영 의원도 권리당원 투표에서 4위(13.6%)를 기록하며 최종 4위로 지도부에 입성했다. 참고로 책임당원 또는 권리당원으로 불리는 이들은 당에 가입한 일반당원과 달리 일정 기간 당비를 꾸준히 낸 ‘진성 당원’을 의미한다.

◇자질검증을 위해? 토론회 횟수=이번 한국당 전당대회에서 논란이 됐던 룰 가운데 하나가 TV 토론회 횟수다. 당초 한국당 선거관리위원회는 당 대표 경선 TV 토론회를 2회 실시하기로 했지만 황교안 후보를 제외한 다른 주자들의 요구에 따라 횟수를 6회로 늘렸다. 판세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한 후보의 경우 현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어 TV 토론회 횟수 증가가 달갑지만은 않다. 반면 추격조 입장에서는 최대한 토론회 횟수를 늘려 자신의 강점을 알리는 한편 선두주자의 약점을 부각시키는 게 중요하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