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에디슨의 꿈' HVDC...1,200억 들여 국산화

KERI 등 16개 기관·기업 업무협약

설계-제작까지 이어지는 기술 확보

13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한국전기연구원(KERI)을 비롯 한전, 효성, 삼화콘덴서공업 등 16개 기관과 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전압형 HVDC 국산화 개발 기술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왼쪽부터) 송원표 효성중공업 부사장, 이용섭 광주광역시장, 박승용 효성 연구소장, 김숙철 한전 전력연구원장, 유동욱 전기연구원 연구부원장, 황호진 삼화콘덴서공업 대표,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  김종갑 한전 사장, 박성철 한전KDN 사장, 최규하 한국전기연구원장이 협약서를 들어보이며 손뼉을 치고 있다. /사진=전기연구원13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한국전기연구원(KERI)을 비롯 한전, 효성, 삼화콘덴서공업 등 16개 기관과 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전압형 HVDC 국산화 개발 기술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왼쪽부터) 송원표 효성중공업 부사장, 이용섭 광주광역시장, 박승용 효성 연구소장, 김숙철 한전 전력연구원장, 유동욱 전기연구원 연구부원장, 황호진 삼화콘덴서공업 대표,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 김종갑 한전 사장, 박성철 한전KDN 사장, 최규하 한국전기연구원장이 협약서를 들어보이며 손뼉을 치고 있다. /사진=전기연구원



초고압직류송전(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은 발전소의 교류전력을 직류로 변환해 고압으로 원거리까지 전송하는 차세대 기술이지만 국산화가 안 돼 있다. 중국은 정부 주도로 HVDC 관련 기술·산업 확대에 나서며 세계적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고 일본도 주파수가 다른 동서 간 연결을 위해 HVDC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100여년 전 직류와 교류 전기 전쟁에서 교류를 개발한 니콜라 테슬라에 패했던 토머스 에디슨이 부활한 셈이다.

이 기술은 비상 시 이웃 연계망과의 조속한 순환이 가능해 블랙아웃의 위험성이 낮고 전력 손실도 적다. 주파수 제약도 없어 많은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직류반도체 소자의 동작원리에 따라 ‘전류형’과 ‘전압형’으로 구분되는데 전압형은 재생에너지 연계가 가능하고 송전탑도 크기가 작고 지중화가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이처럼 미래형 송전기술인 ‘전압형 HVDC’ 기술을 국산화하기 위해 전기·에너지 분야 기관과 기업이 손을 맞잡았다.

관련기사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13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한전 전력연구원, 효성, 삼화콘덴서공업 등 16개 기관과 기업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국책사업인 ‘전압형 HVDC 국산화 개발 기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총 1,243억원을 들여 국산화에 나서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해외 진출까지 염두에 두기로 했다.

업무 총괄을 맡은 KERI의 최규하 원장은 “전압형 HVDC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를 목표로 효성중공업을 비롯한 협력사들이 핵심부품을 제작한다”며 “엔지니어링(전력계통 현황분석)-설계-제작까지 이어지는 전반적인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이날 협약식에는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 이용섭 광주광역시장, 김종갑 한전 사장, 송원표 효성중공업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문승일 서울대 교수, 유동욱 KERI 연구부원장, 김찬기 한전 전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날 주제발표를 했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