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벤츠·포르쉐·BMW 등 8개사 7만4,000대 무더기 리콜

국토부, 103개 대상 차종 공시…제작결함 등 원인

자동차리콜센터 홈페이지자동차리콜센터 홈페이지



벤츠, 포르쉐, BMW 등 8개 완성차업체의 103개 차종 7만3,512대가 제작결함 등의 사유로 자발적으로 리콜된다.

14일 국토교통부는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가 수입 판매한 64개 차종 4만7,659대는 5가지 사유로 리콜된다. E300 4MATIC 등 42개 차종 3만7,562대는 사고 발생 시 벤츠 비상센터로 연결되는 비상통신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S450 4MATIC 등 10개 차종 8만468대는 운전자가 일정 시간 핸들을 잡지 않을 때 이를 알려 주는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가능성이 발견됐다.

C350 E 등 6개 차종 882대는 생산공정의 문제로 전조등이 조명을 비추는 범위가 정부 안전기준에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이러한 자동차안전기준 위반 사항으로 과징금을 부과할 예정이다.


C200 KOMPRESSOR 등 3개 차종 742대는 ‘다카타 에어백’을 사용했다. 일본 다카타가 제작한 에어백은 충돌 시 에어백이 펼쳐질 때 인플레이터(팽창장치)의 과도한 폭발력으로 금속 파편이 튀면서 운전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다수 발생해 세계적으로 리콜이 이뤄지고 있다.

관련기사



GLE300d 4MATIC 등 3개 차종 5대는 차량 뒤쪽에 장착된 ‘리어 스포일러’가 떨어지면서 뒤따르는 차량을 위험하게 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포르쉐코리아가 판매한 5개 차종 3,889대는 3가지 사유로 리콜된다. 718 박스터 등 2개 차종 2,315대는 앞쪽 트렁크에 있는 ’고정 프래킷‘이 사고 시 연료탱크와 충돌하면서 연료가 새어 나와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이 역시 자동차안전기준 위반으로 과징금이 부과된다.

파나메라 등 2개 차종 1,573대는 계기판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돼도 제대로 계기판에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발견됐고, 카이엔 1대는 충격흡수장치 관련 부품 결함으로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확인됐다.

국토부는 자동차 제작결함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자동차리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홈페이지에서 차량 번호를 입력하면 리콜 대상 여부와 구체적인 제작결함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