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내년까지 버스 인허가권 지자체에서 국가로 이전...광역버스 늘어날 듯

최정호 국토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서면답변서 밝혀

지난 8일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최정호 전 전라북도 정무부지사가 서울 정동 국토전시관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8일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최정호 전 전라북도 정무부지사가 서울 정동 국토전시관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까지 광역버스 인허가권이 지방자치단체에서 중앙정부로 이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이렇게 되면 지자체간 이견으로 신설이 어려웠던 광역버스 노선이 수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도입될 수 있을 전망이다.


최정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는 24일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답변 자료에서 이 같은 방안을 밝혔다. 최 후보자는 광역버스 운영 활성화 방안을 묻는 질의에 “최근 신설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를 통해 광역버스 노선을 효율적으로 개편하고 2020년까지는 국가사무로 전환을 추진해 대광위에 실질적인 권한이 부여되게 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사무 전환은 버스 인허가권이 지자체에서 대광위로 넘어온다는 의미이다. 최 후보자는 또 “대광위에 조속히 M-버스 노선 인허가권을 부여하고, 5개 대도시권으로 M-버스 노선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M-버스와 광역버스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준공영제를 도입해야 한다”며 “공공성과 효율성을 감안해 준공영제를 설계하고 관련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최 후보자는 “대도시권 교통혼잡 지원 대상을 현재 6대 광역시에서 일정 규모 이상 인구가 있는 대도시로 확대하는 등 광역 혼잡 도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광역급행철도(GTX) A·B·C, 신분당선, 신안산선 등 주요 사업을 신속히 건설하고, 착공전 사업은 조기에 착수해 광역생활권 출퇴근 시간을 단축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