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항균' 제품 많이 쓰면 어린이 알레르기 비염 생길 수 있다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논문 발표

살균·보존제가 질병 발생 연관 가능성

항균제품 사용 수준에 따른 알레르기 비염의 발생 비율 /자료제공=서울의료원항균제품 사용 수준에 따른 알레르기 비염의 발생 비율 /자료제공=서울의료원



‘항균’ 제품이 어린이 알레르기 비염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환경건강연구팀은 가정 내 항균제품 사용이 초등학생 알레르기비염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논문을 SCI급 국제학술지인 ‘소아 알레르기 면역학’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연구는 학부모의 동의를 받은 서울시 초등학생 1학년 1,538명 중 생애 알레르기 비염을 진단받지 않은 917명을 대상으로 2012년부터 2017년까지 6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추적 전 학생의 부모에게 가정 내 ‘항균’이라고 표시되어있는 제품 10종에 대해 ‘최근 1주일 동안 사용빈도’를 조사했고, 추적 후 초등학생의 알레르기 비염 발생과의 관계를 평가했다.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이 6학년으로 되는 기간 동안 알레르기 비염으로 진단받은 누적비율은 4명 중 1명(25.6%)이었다.

관련기사



항균제품의 경우 10종 중 3종(항균 비누, 항균 손세정제, 항균 주방세제)이 알레르기비염의 발생과 관련이 있었다. 제품 3종을 점수화하여 두 개의 군으로 구분했을 때, 알레르기비염의 발생 비율은 고사용 군(28.1%)이 저사용 군(22.7%)보다 5.4%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알레르기비염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보정하고 분석했을 때 항균 제품의 고사용 군이 저사용 군보다 알레르기비염의 발생 위험이 1.3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에서는 항균제품에 살균·보존제로 사용되는 트리클로산과 트리클로카반이 알레르기비염의 발생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러 연구에서 이 물질들은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규상 서울의료원 환경건강연구소 실장은 “가정 내 부모의 항균제품의 사용이 초등학생의 알레르기비염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중요한 결과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