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시골 거주하는 임산부가 도시보다 제왕절개 비율 높아

대도시에 거주하는 임산부보다 시골에 사는 임산부가 출산 시 제왕절개 분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18년 9월까지 출산한 기혼여성 1,784명을 조사한 결과 제왕절개가 42.3%였고 자연분만이 57.7%였다. 제왕절개 분만율은 노산 등의 영향으로 2015년 39.1%보다 3.2% 늘었다.

관련기사



제왕절개 분만율을 거주지별로 보면 대도시는 38.7%였고 중소도시 44.7%, 농촌이 46.9%였다. 농촌에 거주하는 임산부의 제왕절개 분만율이 높은 것은 상대적으로 병원 접근성고 의료 인프라가 대도시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제왕절개 분만율은 아이를 늦게 출산할수록 급격히 상승했다. 25세 미만은 38.2%에 불과했지만 25~29세(38.6%), 30~34세(39.7%), 35~39세(46.6%), 40~45세(64.8%)로 나타났다. 또 첫째 아이를 출산할 때 제왕절개 분만율이 48.3%로 둘째 아이 이상 출산한 경우인 37.2%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