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혁명수비대 테러조직 지정에 이란도 '맞불'…美 중부사령부 '테러조직' 지정

이란 정예군 혁명수비대(IRGC). /AFP연합뉴스이란 정예군 혁명수비대(IRGC). /AFP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이란 정예군 혁명수비대(IRGC)를 외국 테러조직으로 지정한 데 대해 이란 정부도 중동에 주둔하는 미군을 테러조직으로 지정하는 등 ‘맞불’ 작전에 나섰다.

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와 알자지라에 따르면 이란 최고지도자의 직속조직 최고국가안보회의는 이날 낸 보도자료를 통해 “외무부의 요청을 수용해 중동에 주둔하는 미군 중부사령부와 이와 연관된 군사조직을 테러조직으로 지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미 중부사령부는 중동에서 미국의 테러 정책을 수행하는 데 책임이 있다”며 “이로 인해 이란의 국가 안보가 위험에 처하고 무고한 민간인이 희생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침략적 중동 정책을 강행하는 미국 정권을 ‘테러지원 국가’로 칭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고국가안보회의는 미 국무부가 이란과 혁명수비대를 제재할 때 쓰는 ‘테러조직’, ‘테러지원 국가’라는 표현을 그대로 되받아 사용했다.

관련기사



최고국가안보회의는 또 “중동에서 테러리즘과 극단주의를 지원하는 미국과 그의 중동 내 동맹국(사우디아라비아·이스라엘)과 달리 혁명수비대는 알카에다, 이슬람국가(IS), 알누스라(시리아의 알카에다 지부) 등에 맞서 헌신적으로 최전선에 섰다”고 반박했다. 또 “혁명수비대를 테러조직으로 지정한 미 정권은 중동과 국제 평화,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다”라며 “이는 유엔 헌장과 국제법을 노골적으로 어긴 행태다”라고 비판했다.

미국 정부는 그간 혁명수비대와 직·간접으로 연관된 개인과 회사, 외국 담당 핵심조직인 쿠드스 군을 부분적으로 테러를 지원한다는 이유로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지만 이날 조직 전체를 테러조직으로 낙인찍었다. 혁명수비대는 이란 헌법에 따라 이란 정규군의 산하 조직으로 이란 안보와 신정일치 체제, 경제력의 군사적 중심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란의 정규군을 처음으로 테러조직으로 규정함으로써 이란 정권의 합법성과 정당성을 부정하겠다는 뜻을 대외적으로 표출한 것으로 보인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