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추락한 日 F-35A 전투기, 예전 2차례 긴급착륙 전력

일본 항공자위대가 보유하고 있는 F-35전투기.    /로이터연합뉴스일본 항공자위대가 보유하고 있는 F-35전투기.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9일 훈련 중 추락한 일본 항공자위대의 F-35A 전투기가 이전에도 2번이나 긴급착륙을 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12일 도쿄신문과 NHK에 따르면, 하라다 겐지 방위부대신은 전날 중의원 총무위원회에서 추락 사고가 난 F-35A 전투기가 2017년과 2018년 각각 한 차례씩 비행 중 문제가 발생해 긴급착륙을 했다고 밝혔다.

먼저 2017년 6월 제조사인 미국 록히드 마틴에 의해 일본 내에서 배치 전 시험비행을 하던 중 기체의 냉각 계통과 관련한 경보장치가 작동했고, 일본 배치 후인 2018년 8월에도 비행 중 문제가 발생했다.


방위성에 따르면 두 경우 모두 비행 자체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안전 확보 차원에서 긴급착륙했다. 방위성은 긴급착륙 후 관련 부품을 교환한 뒤 이 전투기를 계속 운용했다.



같은 F-35A 기종의 다른 전투기가 긴급착륙한 사례도 있었다. 2018년 4월 기후현 항공자위대 기지 상공을 비행하던 전투기가 조종석을 덮는 부분이 잠기지 않았을 가능성을 알리는 표시등이 작동해 긴급착륙했다.

일본에서는 지난 9일 F-35A 전투기 1대가 태평양 해상을 비행하다가 추락한 뒤 이 기종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고가 난 전투기는 미국 록히드 마틴사가 제조했고 일본 기업 미쓰비시중공업이 조립한 것으로, 일본은 이 기종 전투기를 모두 105기 배치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 전투기의 가격은 1대당 116억엔(약 1,193억원)에 달한다.

하라다 부대신은 과거 긴급착륙과 추락 사고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하는 한편, F-35A의 추가 배치 계획과 관련해서는 “현시점에서는 변경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