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화산지진 벌써 3,000회"…946년 대폭발 백두산 분화 징후 포착

백두산 천지/연합뉴스백두산 천지/연합뉴스



잠들어 있던 백두산이 깨어나는 것인가.

백두산의 화산 분화 징후가 포착되면서 피해 예방 대응책 마련 등 관계 당국의 논의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5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관련 토론회를 개최한다. 지하에 거대 마그마가 존재하는 활화산인 백두산에서 최근 화산분화 움직임이 잇따라 관측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기록을 보면 백두산은 지난 946년 한차례 대분화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된다. 학계에서는 당시 백두산에서 남한 전체를 1m 두께로 덮을 정도의 엄청난 분출물이 나온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폭발은 지난 1만년 사이 지구에서 발생한 화산 분화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다.



이외에도 백두산은 2002∼2005년 사이 천지 부근에서 화산지진이 3,000회 이상 관측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천지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도 발견됐는데 학계에서는 모두 화산 분화 징후로 보고 있다. 백두산의 활발한 화산 활동이 이어지면서 범국가 차원에서 대규모 분화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백두산 천지/사진=나윤석 기자백두산 천지/사진=나윤석 기자


이같은 상황을 반영해 더불어민주당 심재권(서울 강동구을)·이상민 의원(대전 유성구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이날 학계·연구기관·언론·정부 부처 관계자 등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 주제로 국회 토론회를 연다.

토론회는 백두산 화산활동의 감시 연구 활동 공유와 인도주의적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을 통한 범국가적 차원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구보타 히로지 ‘백두산, 북한’ 1987년작 /사진=학고재갤러리 제공구보타 히로지 ‘백두산, 북한’ 1987년작 /사진=학고재갤러리 제공


지난 2017년 9월 백두산 화산의 첨단 연구결과를 제시한 국제학술회의, 2018년 2월 남북과학기술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한 국회 과학기술외교포럼에 이어, 이번 토론회는 백두산 화산 재해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법의 필요성 확산과 인도주의적 대응책 마련을 위한 해결방안을 찾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