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연체율 다시 급등 7.07%...위기의 P2P

부동산PF 대출 상환 차질 직격탄

더좋은펀드 연체율은 100% 달해

법적장치 없어 투자자 불안 커져




국회 파행으로 개인간금융거래(P2P) 법제화 추진이 무기한 연기된 가운데 일부 P2P 업체들의 대출 연체율이 급증하면서 P2P 업체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16일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44개 회원사 전체의 평균 연체율은 7.07%를 기록했다. 2017년 3월 0.67%, 지난해 3월 2.21%보다 각각 10배, 3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평균 연체율보다 연체율이 높은 곳도 전체 회원사 중 14곳에 달했다. 3곳 중 1곳은 제때에 돈을 상환받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더좋은펀드의 연체율은 100%로 전체 대출금 중 단 한 푼도 받지 못한 상태다. 애플펀딩 70.1%, 썬펀딩 69%, 소딧 65.8%, 비욘드펀드 57.5%, 월드펀딩 56.1%, 스마트펀딩 43% 등도 연체율이 두자릿수를 기록했다. 연체율은 상환일로부터 30일 이상 상환이 지연된 금액의 비중을 뜻하는데 P2P 업체에 대한 중요한 투자지표다. 연체가 많아지면 P2P 업체가 투자자에게 투자원금과 수익률 등을 돌려주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2P 업체 관계자는 “일부 업체들이 신규 대출이 막히거나 리스크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 연체율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부동산 PF 대출 상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도 P2P 업체들의 연체율이 높아진 이유로 꼽힌다. 연체율 100%의 더좋은 펀드의 경우 전체 대출 중 56%를 부동산 PF 대출이 차지하고 있다. 스마트펀딩 역시 전체 대출 중 93%가 부동산 PF 대출로 진행됐다. 썬펀딩의 부동산 PF 대출 역시 전체의 80%에 해당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내 P2P 업계 대부분은 부동산 PF나 부동산 담보에 집중돼 있는데 부동산 경기 악화가 장기화하면서 영세 P2P업체들도 타격을 입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제도권 금융과 비교하더라도 연체율 수치가 터무니없이 높은데다 투자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법적 장치가 없는 상황에서 국회 법제화 일정이 지연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권고하고 있는 P2P 투자 가이드라인은 법적 구속력이 없어 부실이나 사기·횡령 등으로 인한 투자자 피해가 발생해도 이들의 보호할 조치가 전무한 상황이다. P2P업계의 한 관계자는 “영세업체들의 폐업으로 피해 사례도 늘고 있지만 관련 법이 없어 투자자 보호나 2차 피해를 예방하기가 어렵다”며 “법제화가 추진돼야 옥석 가리기가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로서는 투자자들이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스스로 알아서 P2P업체를 선별해 투자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