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권구찬 선임기자의 관점] 정재숙 문화재청장 "천은사 '상생' 확산돼야"

"입장료 폐지 국민호응 기대 이상

열린 마음 가지며 해결 노력할 것

자기 입장만 주장땐 갈등 못 풀어"




“지리산 천은사 입장료 갈등 해소 이후 국민의 기대치가 높아진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지난 3일 국립 고궁박물관 집무실에서 만난 정재숙(사진) 문화재청장은 천은사의 입장료 폐지에도 불구하고 국립공원 내 사찰 24곳이 문화재 관람료를 징수하는 것과 관련해 “국민 입장에서는 왜 다른 사찰 문제도 속 시원하게 풀지 못하느냐고 답답해하겠지만 워낙 이해 당사자가 많아 생각만큼이나 쉽지 않은 과제”라고 털어놓았다.


정 청장은 32년 만에 천은사의 입장료가 폐지된 것은 상징적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민 불편사항 가운데 이처럼 자잘하지만 줄기차게 지속돼온 민원이 또 있겠느냐”며 “해묵은 과제가 풀리자 국민의 호응도가 생각 이상으로 높다는 데 놀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천은사 갈등 해소는 여러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사찰이 지속적으로 소통한 결과물”이라며 “첫발을 뗐으니 천은사의 상생모델이 계속 확산되도록 각계가 중지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은사 해법 모색에는 사찰을 포함해 환경부와 전라남도·국립관리공단 등 8개 관계기관이 참여했다. 정 청장은 통행료 폐지의 결단을 내린 화엄사 주지 덕문 스님의 공이 무엇보다 컸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문화재청은 천은사 모델이 관람료를 징수하는 24개 국립공원 사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모범답안은 아니라고 했다. 국립공원 내 사찰과 문화재의 위치, 사찰 소유 현황 등이 제각각인데다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이해 관계자가 줄잡아 100곳이 넘는다. 그는 “제각각 논리와 입장만 내세우면 관람료 갈등을 해결할 수 없다”며 “열린 마음으로 차근차근 해결하려는 의지와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화재 관람료는 197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문화부가 아예 사찰별로 요금을 임의 책정하고 사후 감독권도 행사했다. 하지만 국가의 지나친 개입과 사유재산권 침해 논란 속에 국회 차원에서 폐지됐다고 한다. 정 청장은 “지금에 와서 과거로 회귀할 수 없다”면서 “다만 국민의 뜻이 뭔지를 알고 있으니 종단도 정부가 느끼는 만큼이나 나름의 부담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등산객과 시민단체 등이 요구하는 관람료 매표소 위치 이전에 대해서는 “사찰 측이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chans@sedaily.com

권구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