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 모든 시는 부모로부터 나왔다"

시인 김용택 어머니·나태주 아버지 등 6명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 수상

김용택(왼쪽) , 나태주 시인김용택(왼쪽) , 나태주 시인



훌륭한 예술가를 길러낸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 수상자로 김용택(왼쪽) 시인의 어머니 박덕성(91)씨와 나태주 시인의 아버지 나승복(93)씨 등 6명이 선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8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시상식에서 열고 두 시인의 부모와 바이올리니스트 이경선의 어머니 최석순(82)씨, 클라리네티스트 이상재의 어머니 조묘자(79)씨, 국악인 서춘영·은영·진희의 어머니 김정순(68)씨, 발레리나 김세연의 어머니 조명상(79)씨에게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을 수여했다.

이 상은 매년 어버이날을 계기로 자녀를 훌륭한 예술가로 키운 어버이에게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1991년 제정돼 올해로 29회째를 맞았다.


40년 가까이 섬진강 옆 시골학교 교사로 살아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 시인은 모친에 대해 “내 모든 시는 어머니에게서 나왔다”고 고백할 정도로 어머니가 시인의 시 세계에 원형적인 영향을 끼쳤다.

관련기사



‘풀꽃 시인’ 나태주는 1970년대를 대표하는 서정시인으로 아버지 나승복씨는 가난에도 아들의 능력을 믿고 시집을 출간할 수 있도록 쌀 열 가마닛값을 주는 등 물심양면으로 지원했다.

한국인 최초로 워싱턴국제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한 바이올리니스트며 현재는 서울대 기악과 교수인 이경선의 어머니 최석순씨는 작은 가게의 한편에 연습실을 따로 마련할 만큼 열정과 무한한 사랑으로 딸을 가르쳐 세계적인 음악가로 키워냈다.

중증 시각장애를 극복하고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클라리넷 연주자가 된 이상재는 세계 유일의 민간 시각장애인 오케스트라 ‘하트시각장애인체임버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 그의 모친인 조묘자씨는 불의의 사고로 시각장애인이 된 아들이 미국 3대 명문 음악학교인 피바디음대 최초의 시각장애인 음악 박사가 되기까지 헌신적으로 지원했다.

자매 국악인 서춘영·은영·진희의 어머니 김정순씨는 국악에 대한 끝없는 열정과 희망으로 자녀 3명 모두를 국악계의 재목으로 키우고 자신도 국악인의 길을 걸었다. 유니버설발레단, 스위스 취리히발레단, 네덜란드 국립발레단 등 세계적인 발레단에서 수석무용수로 활약한 김세연의 모친 조명상씨는 어려운 형편에도 발레에 빠진 어린 딸을 위해 남대문 새벽시장도 마다하지 않고 뒷바라지했다./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