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김연철 "북미 새 협상안 준비하고 있다"

<한반도국제평화포럼>

정상간 톱다운 방식 중요하지만

이견 좁히는 실무회담 병행해야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19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9 한반도국제평화포럼’ 행사에서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19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9 한반도국제평화포럼’ 행사에서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19일 “북미 모두 하노이 정상회담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새 협상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9 한반도국제평화포럼’에서 “(북미 간) 대화의 조속한 재개가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의 이 발언은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의 방한 직전 나왔다는 점에서 북미 간 실무접촉과 연관된 것 아니냐는 관측을 자아냈다.


김 장관은 정상 간 톱다운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성공적인 3차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실무회담도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동안 실무급 협상이 기술적 쟁점에 매몰돼 벗어나지 못했던 부분을 좀 더 큰 틀에서 관계개선으로 잇는 것들이 적지 않았다”며 “그런 차원에서 보면 여전히 톱다운 외교의 장점을 잘 살려 나가며 구체적 차이들을 좁혀 나가기 위한 다양한 수준의 실무회담도 병행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달 말 열릴 오사카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하노이 노딜’ 이후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 대화를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중정상회담, 오사카 G20 정상회의에서 미중정상회담, 그 이후 한미정상회담 등 일련의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며 “이 모든 정상회담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환경 조성”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는 임박한 북중정상회담이 북미 비핵화 협상에 미칠 영향에 대한 전망도 논의됐다. 프랭크 자누지 미국 맨스필드재단 대표는 “미국에서는 북중정상회담이 북미 비핵화 협상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모멘텀을 만들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스인훙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도 “북중정상회담은 실질적으로 오사카 G20 정상회의를 대비하기 위한 차원으로 생각하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움직일 수 있는 중국의 역량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