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 꼴찌’ 지방자치단체인 울산시가 트램(노면전차)을 중심으로 교통 체계를 완전히 바꾸기로 했다. 7대 특·광역시 가운데 유일하게 지하철이 없으며, 버스 분담률 또한 낮아 대중교통 불편이 가장 심한 울산이 트램으로 반전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조선업 위기가 아직 채 극복되지 않은 시점에서 막대한 재정이 투입되는 트램 사업을 울산시가 정상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울산은 지난 1993년부터 여러 차례 경전철 도입을 시도했으나 재정문제로 모두 무산된 바 있다.
14일 울산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오는 2027년 운행을 목표로 트램 도입을 결정했다.
송철호 울산시장의 공약으로 취임 1주년에 맞춰 발표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은 트램을 이용한 4개 노선에 총연장 48.25㎞로 사업비는 1조3,316억원에 이른다. 시는 경제성과 재정 여건 등을 고려해 1단계로 2개 노선을 오는 2027년 개통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노선 3, 4는 2단계로 건설한다.
트램 건설과 함께 울산시를 중심으로 부산과 양산 등 인접 지역과 연결하는 광역철도망도 구축한다. 여기에 재정지원형 민영제(적자 보전은 하되 운영 노선 등은 회사가 결정)로 운영하던 시내버스를 시가 노선을 결정하는 준공영제로 바꾸기로 했다.
울산시가 대중교통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것은 자동차에 편중된 교통수단을 대중교통으로 옮기기 위해서다.
국가교통DB센터에 따르면 울산은 지난 2006년 버스가 20.6%, 승용차가 35.7%였던 분담률이 2016년엔 각각 15.7%와 43.7%로 대중교통 이용률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버스 이용객도 2014년 32만명에서 2018년 26만6,000여명으로 줄었다. 7개 특·광역시 가운데 버스 분담률이 가장 낮다.
울산시 관계자는 “인구와 비교해 면적이 넓어 대중교통으로 메꾸기엔 힘든 측면이 있다”며 “새로운 대중교통 시스템이 필요했으나 재정 문제 등으로 미뤄져 왔다”고 밝혔다.
울산시가 교통체계를 바꾸기로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울산시는 26년 전인 1993년에 2000년대를 대비한 장기교통발전 계획으로 경전철 운행을 검토했다. 당시 7,500억원을 들여 32㎞ 구간을 계획했으나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1996년에도 경전철 3개 노선, 총 69.1㎞ 구간 조성을 계획한 데 이어 2004년에도 32.49㎞의 경전철을 계획했으나 역시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2008년 경전철 15.95㎞를 계획하며 2011년 착공 시기까지 확정했지만, 금융위기가 시작하면서 막대한 재정 투입이 걸림돌이 돼 이 계획도 무산됐다.
이번에 계획한 트램 및 광역철도, 버스 준공영제 모두 재정문제가 핵심이다. 1조3,316억원(국비 60%, 시비 40%)이 드는 트램은 울산시 자체사업이며, 광역철도 또한 1조1,761억원(국비 70%, 시비 30%)이 들어간다. 트램은 또 매년 500억원의 운영비가 들 것으로 예상한다. 버스 적자보전액도 2018년 527억원으로 준공영제를 시행하면 더 늘어날 전망이다.
시민 불편도 예상된다. 트램은 완공 후에도 기존 도로를 잠식하는 방식으로 정체가 심화할 우려가 있다. 특히 출퇴근 시간에만 정체가 발생하는 울산 차량 흐름 특성에 비춰 교통 불편과 운영 적자 모두 우려된다.
이 같은 우려에도 울산시의 대중교통 개선 의지는 확고하다. 송철호 시장은 “대중교통 적자는 교통복지 차원에서 시에서 감수하겠다”며 “사업 일관성과 연속성을 위해서는 시민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지지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