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장, "3기 신도시는 수요자 중심 설계해야"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장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장



“3기 신도시는 공급자 위주가 아닌 수요자 중심에서 설계돼야 합니다. 주민들이 살기 원하는 도시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승효상(사진) 국가건축정책위원장은 30일 서울 중구 서울도시건축전시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경기도 고양 창릉, 부천 대장 등 3기 신도시 건립 방향에 대해 언급했다. 승 위원장은 “국민 행복지수가 우리 경제력에 비해 높지 않게 나오는데 이는 주거·공공·복지시설 등이 잘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이라며 “주민들이 행복하게 살도록 3기 신도시의 주거환경이 잘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층 위주의 주택공급 등 구체적 방안과 관련해선 택지 조건과 상황에 맞춰 다양한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언급했다.


서울시에서 추진 중인 새 광화문 광장 조성이 수차례 논의 끝에 결국 2005년 제안한 승효상 위원장안으로 되돌아갔다는 지적에 대해선 “각계 전문가로 꾸려진 ‘광화문 포럼’에서 차도를 지하화하고 지상을 보행자 광장으로 만드는 혁신안을 냈는데 이게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며 “비용이 조 단위로 발생하는 데다 지하구간 차량 통행이 만약 원활하지 못하면 배기가스 등 대기질 오염이 심각해 역효과가 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승 위원장은 공공건축물 등이 지역 특성에 맞춰 잘 건립되고 지역과 어우러질 수 있도록 총괄건축가·공공건축가 제도를 시행하고, 공공건축 절차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특별법도 추진할 계획이다. 승 위원장은 “주민들의 삶에 영향을 주는 것은 서울 N타워같은 랜드마크가 아니라 학교·유치원 등 지역 공공건축물”이라며 “이런 건축물을 여건에 맞춰 잘 조성하고 단장할 수 있도록 총괄건축가 제도를 시행하고, 관련 특별법도 최대한 빨리 제정될 수 있도록 추진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승 위원장은 지난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공동감독, 2014년 서울시 총괄건축가를 역임했다. 지난해 4월부터 대통령 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 임기는 내년 4월까지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