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이낙연 "日경제공격..전화위복 되도록 할 것"

소재부품 산업 대일 의전도 탈피

대기업·중소기업 협력 분업체계

제조업 일으키고 청장년 일자리 증가

이낙연 국무총리가 4일 오후 국회에서 일본의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명단) 배제 조치에 따른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고위 당·정·청 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 총리,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연합뉴스이낙연 국무총리가 4일 오후 국회에서 일본의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명단) 배제 조치에 따른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고위 당·정·청 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 총리,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4일 일본 경제 도발에 대해 “전화위복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고위당정청협의회에서 “정부는 일본의 경제 공격에 대해 상세한 산업 대책을 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일본이 외교적 협의도, 미국의 중재도 일부러 외면하고 우리에 대한 경제 공격을 집행했다”며 “일본의 잇따른 조치에 따라 양국은 물론 국제사회에서 세계 경제와 동북아 안보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며 “일본이 이런 전개를 원했는지 묻고 싶다. 무모하고 위험한 결정을 시정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특히 이 총리는 “일본의 경제 공격을 예상해 종합 대응책을 준비해왔다”며 “적어도 네 가지를 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이 총리는 “소재·부품 산업을 키워 과도한 대일본 의존을 탈피하고 산업의 저변을 넓히는 것과 함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적 분업 체계를 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제조업을 새롭게 일으키고, 청장년의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이번 사태가 없어도 가야 할 방향이었다”며 “정부는 이미 발표했거나 발표할 대책을 일관되게 추진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