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태평양전쟁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유해 발굴 및 국내 봉환 추진

韓국과수와 美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 업무협약 체결

타라와전투 희생자 중 아시아계유해 150여위 확인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미국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이 26일(현지시간) 미국 DPAA 하와이지부에서 태평양전쟁 격전지에 강제동원된 희생자 유해감식 및 유해의 국내봉환에 합의 서명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국과수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미국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이 26일(현지시간) 미국 DPAA 하와이지부에서 태평양전쟁 격전지에 강제동원된 희생자 유해감식 및 유해의 국내봉환에 합의 서명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국과수



태평양전쟁 당시 격전지에 강제 동원됐다 목숨을 잃은 한국인 희생자의 유해가 국내로 돌아올 수 있게 됐다.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은 미국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과 태평양전쟁 격전지에 강제 동원된 희생자 유해감식 및 유해의 국내봉환에 합의하고 업무협력을 본격화한다고 27일 밝혔다.

국과수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행안부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은 미국 DPAA와 유해감식 및 유전자검사 등 협력 강화를 위한 공식적인 논의를 시작했다. 이후 타라와 강제동원 희생자 피해조사를 한 결과 유가족 391명을 확인하고 유가족 184명의 유전자정보를 확보했다.


중부태평양 길버트제도에 있는 타라와는 키리바시공화국의 수도로서 태평양전쟁 당시 미국과 일본이 전투를 벌인 곳이다. 타라와전투의 교전인원은 미국이 3만5,000명, 일본이 4,800명이었다. 이 전투에서 미국 측은 1,696명, 일본 측은 참전자 대부분인 4,713명이 목숨을 잃었다. 일본정부 자료에 따르면 타라와전투 희생자 중 한국인 강제동원 희생자는 586명이다.



지난 3월 국과수는 법의학(신원확인), 법유전자(유전자감식), 법화학(동위원소분석) 분야 전문가를 하와이와 타라와섬에 파견해 아시아계유해 150여위를 확인했다. 이와 함께 유전자 검사가 가능한 총 145개(하와이 72, 타라와 73)의 시료를 채취했다. 채취된 시료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피해 유가족과의 신원일치 여부와 동위원소 분석 등을 통해 한국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현재 국과수에서 유전자 감식을 진행 중이며, 정부는 신원이 확인된 유해를 올해 하반기 중 국내로 봉환해 안치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26일(현지시간) 국과수와 DPAA는 하와이에서 유해감식 및 봉환 등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최영식 국과수 원장은 “국과수의 신원확인 능력은 축적된 노하우와 기술로 과거 동남아 쓰나미 사고 등 각종 사건·사고에서 큰 힘을 발휘하였고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며 “태평양전댕에 강제 동원된 희생자들의 유해가 하루 빨리 고국에 안길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