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상반기 제조업 가동률 79%...IT·전기전자, 석유화학 등 주력 업종 부진

반도체 웨이퍼반도체 웨이퍼



올 상반기 국내 주요 제조업체들의 가동률이 80%에 미치지 못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4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에 따르면 국내 매출 기준 500대 기업 가운데 반기보고서를 제출하고 가동률을 공시한 143개 제조업체의 상반기 가동률을 조사한 결과 평균 78.80%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80.97%)보다 2.17%p 하락한 것으로, 올들어 기업들이 적극적인 설비 투자를 통해 생산능력을 확대했지만 실적이 이에 뒤따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IT·전기전자 업종이 가장 높은 가동률 하락을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이 끝나면서 자연스럽게 기업들이 가동률을 줄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석유화학과 철강 등 한국의 주력 업종이 대부분 부진을 면치 못했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 87.54%에 달했으나 올 상반기에는 78.68%로 8.86%p나 떨어졌다. 석유화학(-3.84%p), 철강(-2.6%p), 식음료(-0.74%p) 등도 하락했다.

관련기사



반면에 제약(2.94%p), 건자재(1.17%p), 생활용품(0.81%p), 자동차·부품(0.07%p), 조선·기계·설비(0.07%p) 등은 올랐으나 상승폭은 크지 않았다.

기업별로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제조업체인 세메스가 94.85%에서 32.53%로 62.32%p나 급락했다. 올 상반기에 반도체·디스플레이 업황이 동반 둔화한 데 따라 ‘직격탄’을 맞았다.

한국콜마가 22.61%p 하락한 53.47%를 기록했고, 한화토탈(-20.43%p)과 현대건설기계(18.50%p), 대한전선(-18.42%p), LS아이앤디(-18.42%p) 등도 가동률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반대로 태평양물산은 54.40%로 38.59%p나 올랐으며, 현대삼호중공업(19.33%p)과 대웅제약(18.92%p), 오뚜기(15.03%p), 현대미포조선(14.40%p), LG전자(12.51%p) 등도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