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창원·반월시화 산단 '스마트화' 클릭

경제활력 대책회의 확정

내년 1,858억 예산 지원받아

제조업 혁신 표준모델 구축

창원산단은 대·중기 상생형

반월시화는 中企 집적형 추진

0525A32 스마트산단야근



경남 창원, 경기 반월·시화 국가산업단지가 내년 1,858억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제조업 혁신을 위한 ‘산업단지 스마트화’를 적극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경남 창원 산업단지와 경기 안산시의 반월·시화 산업단지에 대한 ‘스마트산단 표준모델 구축 및 선도산단 실행계획’을 확정하고 이같이 밝혔다.


스마트 산단은 정보통신기술(ICT)로 산단에 입주한 기업 간 데이터와 자원을 연결·공유해 동일 업종·벨류체인 기업들의 생산성을 높이고 미래형 신산업을 창출하는 모델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20개의 스마트 산단을 순차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며 창원과 반월·시화는 스마트 산단의 선도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날 나온 실행계획에 따르면 창원산단은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화, 반월시화는 중소기업 집적형 스마트화를 각각 추진한다. 국내 최대 기계산업 집적지인 창원은 대학과 기업연구소, 대기업 등 혁신기반이 풍부하고 반월·시화는 국내 최대 부품·뿌리 업체와 중소기업이 밀집해 있는 점을 스마트화 전략에 반영한 결과다.


창원은 주력인 기계산업과 대·중소기업 가치사슬을 바탕으로 대기업 중심의 대·중소 동반 스마트화를 추진하고 4개 업종별 스마트 미니클러스터(MC)를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수요를 발굴하기로 했다. MC는 산업단지 내 업종 및 기술분야별 기업, 대학, 연구소, 지원기관 등으로 구성된 산학연협의체를 말한다. 또 국내 제조로봇산업의 중심지로 집약된 특성에 기반해 지능형 로봇, ICT융합 스마트공장 보급과 함께 AI 등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도 추진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경남도는 민선 7기 김경수 도지사가 취임 이후 경남형 제조업 혁신을 위해 추진해 온 스마트산단 공약이 중앙정부의 산업정책에 반영된 데 크게 고무된 분위기다. 경남도는 지난 2월 스마트산단 선도프로젝트에 선정된 이후 3월에 창원시,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전기연구원, 재료연구소,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경남테크노파크, 경남개발공사, 창원산업진흥원 등에서 인력을 파견받아 사업단을 구성했다. 창원 국가산단은 1974년 정부의 중화학공업육성 정책에 따라 세계적인 첨단기계 산업단지 조성을 목표로 253만 2,000㎡ 규모로 조성된 이후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해왔지만 노후화와 입주 기업의 혁신역량 등이 한계에 부딪혀 혁신이 절실했다. 이에 경남도는 ‘산단 내 스마트공장 확산→개별 기업 데이터 수집 기반 구축→데이터 연결·공유→연관 제조산업 육성’등을 통해 산단의 제조 환경을 탈바꿈할 방침이다.

창원 산단의 스마트화로 경남도는 2023년까지 3,000여개의 기업체 입주, 67조원의 매출, 15만명의 종사자 고용, 스마트공장 700개소 구축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고 있다. 생산유발액 6조 2,000억원, 부가가치 유발액 1조 7,000억원 등 상당한 직·간접 경제 파급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3, 4차 협력관계를 지닌 영세 부품·뿌리 중소기업(1만3천개)이 대부분인 반월시화는 기업 주도의 제조혁신은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수도권 인근 공급기업이 입주기업의 금형·주조 등 뿌리공정 스마트화를 때맞춰 지원할 수 있도록 뿌리공정 모듈(시스템화)과 인력 등 스마트제조 산업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창원 국가산단이 반월시화 국가산단과 함께 전국 최초 스마트 선도 산업단지로 지정돼 역량 강화에 나선다”며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지역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자동차, 조선 등 주력 제조업의 혁신과 산단의 스마트화로 극복의 전기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황상욱기자 안산=윤종열기자 sook@sedaily.com

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