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운전자 맞춤 자율주행기술···현대·기아차, 세계 첫 시동

AI가 스스로 운전 습관 분석

1만개 이상 패턴 만들어 구현

2215A12 현대기아자율주행차



현대·기아자동차가 인공지능(AI)이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분석해 맞춤형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운전자가 직접 속도를 입력해야 했던 초기의 크루즈컨트롤 기술이 앞차와의 간격을 스스로 조절하는 스마트크루즈컨트롤(SCC)을 거쳐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크루즈컨트롤 머신러닝(SCC-ML)’ 기술로 진화한 것이다.

현대·기아차는 AI가 운전습관을 스스로 분석해 가속도와 차간거리 등을 조절해주는 SCC-ML 기술을 독자 개발해 신차에 선별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양산 차량에 이 기술이 적용되면 국내 독자 자율주행 기술은 레벨2를 넘어 레벨 2.5 수준으로 올라서게 된다. 현대·기아차 자율주행개발센터의 한 관계자는 “SCC-ML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해 기존 SCC 기술을 대폭 개선했다”며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필수적인 AI 분야에서 업계 선두권의 기술력을 확보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개발한 SCC-ML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센서와 제어컴퓨터 등의 장치가 주행습관을 스스로 분석해 운전자 각자에 맞는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것이다. 기존 SCC는 운전자가 직접 설정하는 대로 차가 움직이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이 기술을 적용하면 전방 카메라나 레이더 등의 센서가 다양한 주행 상황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지속 수집해 제어컴퓨터로 보내고 제어컴퓨터는 해당 운전자가 어떤 차간거리를 선호하는지, 얼마나 신속하게 가속하는지, 주행환경에 얼마나 예민하게 반응하는지 등을 분석해 1만개 이상의 주행 패턴을 만들어낸다.

관련기사



예를 들어 어떤 운전자는 저속으로 시내를 주행할 때는 차간거리를 매우 가깝게 유지하지만 고속도로를 주행할 때는 앞차와 멀리 떨어져 운전할 수 있다. 이를 차량이 스스로 고려해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것이다. 제어컴퓨터는 운전자가 주행을 할수록 정보를 많이 축적해 더욱 정교한 맞춤형 자율주행을 가동한다.

현대·기아차는 앞으로 더 다양한 상황을 차량이 인식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을 계속할 계획이다.

안전에도 신경을 썼다. 김시준 현대·기아차 파트장은 “만약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크게 벗어난 주행 성향을 가지고 있다면 안전이 검증된 패턴 내에서 운전자와 가장 가까운 패턴으로 매칭한다”며 “첨단 기술이지만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고 말했다.


박한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